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두 가지 해탈(解脫)의 의미에 대한 고찰― 니까야(Nikāya)를 중심으로 ―

이용수 338

영문명
A Study on the Vimokkha and Vimutti as found in Pāli-Nikāyas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정준영(Jeong Jun Young)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14호, 61~9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Vimokkha and Vimutti as found in P?li-Nik?yas. Cetovimutti, Pa???vimutti and Ubhatobh?gavimutti are three terms used in the canonical texts in describing the realization of emancipation. Of these three terms, while Pa???vimutti and Ubhatobh?gavimutti by themselves are used to denote the final emancipation, the term cetovimutti by itself is not used in this sense. It is when cetovimutti is used along with pa???vimutti that it denotes final emancipation. Therefore, cetovimutti by itself is not sufficient to lead one to the attainment of final emancipation. This brings up the question whether attainment of pa???vimutti is possible without cetovimutti. In other words, the question is whether there can be a pa???vimutta who has not attained cetovimutti. Such a question arises because the texts refers to a category of finally emancipated persons who are called ubhatobh?gavimutta, and these persons are taken as those who have realized both cetovimutti and pa???vimutti. And this study clearly shows whether one is a cetovimutti attainer or a pa???vimutti attainer, jh?nic attainments are necessary for both. Therefore, when we say S?riputta is a pa???vimutta, and Moggall?na is a cetovimutti attainer, it does not mean that S?riputta has not practised jh?na, or that Moggall?na has not practised vipassan?. The reason of different abilities are due to the difference in faculties (indriyavemattat?) of the respective attainer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초기경전에서 나타나는 vimokkha에 대하여
Ⅲ. 초기경전에서 나타나는 vimutti에 대하여
Ⅳ. 마치는 말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준영(Jeong Jun Young). (2006).두 가지 해탈(解脫)의 의미에 대한 고찰― 니까야(Nikāya)를 중심으로 ―. 불교학연구, (14), 61-90

MLA

정준영(Jeong Jun Young). "두 가지 해탈(解脫)의 의미에 대한 고찰― 니까야(Nikāya)를 중심으로 ―." 불교학연구, .14(2006): 6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