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立法裁量論에 관한 硏究

이용수 194

영문명
A Study On The Theory Of Legislative Discretion
발행기관
한국헌법학회
저자명
權亨俊(Kwon Hyung-Jun)
간행물 정보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12卷 第3號, 495~52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9.0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헌법 제40조는 국회에 입법권을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국회는 입법기관으로서 입법의 여부나 시기 및 내용 등에 관하여 당연히 재량권을 가진다. 그러나, 입법재량권의 근거나 범위는 명백하지 않아 해석상 여러 문제를 제시하고 있다. 한편 많은 국가에서 위헌입법에 대한 견제수단으로 위헌심사제가 도입되고 있는 바, 입법재량권은 이러한 위헌법률심사에 대한 제약요인으로 그 이론적 의의가 확립되었다. 이러한 입법재량을 유형화하는 이론은 헌법규정이나 법률의 성격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실체적 유형화이론과 헌법소송론과 관련하여 입법재량을 유형화하는 이론으로 구분된다. 입법재량론은 위헌심사제와 관련하여 그 의의를 지니게 되었는 바, 위헌법률심사에 있어서 입법재량론이 차지하는 지위에 대하여는 입법재량을 위헌심사의 실체적 한계로 보는 입장과 입법재량론을 위헌심사의 심사기준으로 파악하는 입장이 대립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헌법재판소제도가 도입된 이래로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에 의한 헌법재판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으나, 입법재량론에 관한 판례의 분석은 자칫 사법소극주의의 구실로 입법재량론을 원용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하게 한다. 국민의 기본권보장과 헌법보장이라는 헌법재판제도의 취지에 비추어 입법재량론의 채택이 자제될 수 있는 자세가 요청되고 있다.

영문 초록

  Article 40 of the Constitution endows the National Assembly with legislative power. It is resonable that the National Assembly, as legislative body, may exercise its discretion in the use of the legislative power. But it is unclear whether the legislative discretion is authorized and how is the scope of the legislative discretion.
  Being adopted the system of judicial review in several countries, the theory of legislative discretion have a theoretical significance as a restrictive sector. The theory of classification of the legislative discretion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one is substantial classification theory of the legislative discretion which decide legislative discretion through the nature of the law or the constitutional article concerned. The other is procedural classification theory connecting with constitutional litigation system.
  There are two points of view in the relation between the legislative discretion and judicial review : the positivism and passivism. And there are two points of view that the significance of theory of legislative discretion have in the judicial review system: the theory of substantial restriction and the theory of the standard of judicial review.
  In Korea,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supreme court have decided 520 constitutional cases based on the theory of legislative discretion up to date. The courts have declared that the legislative discretion is restrictive and have adopted substantial classification theory of the legislative discretion.

목차

Ⅰ. 序
Ⅱ. 立法裁量의 類型化에 관한 理論
Ⅲ. 立法裁量權과 違憲法律審査와의 相關關係
Ⅳ. 立法裁量論에 관한 判例動向
Ⅴ. 結語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權亨俊(Kwon Hyung-Jun). (2006).立法裁量論에 관한 硏究. 헌법학연구, 12 (3), 495-522

MLA

權亨俊(Kwon Hyung-Jun). "立法裁量論에 관한 硏究." 헌법학연구, 12.3(2006): 495-5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