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직무요구-통제 모형에 의한 사원들의 직무소진(Job Burnout)에 관한 연구 - 적극적 성격과 자기효능감 변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3611

영문명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Proactive Personality and Self-Efficacy on Job Burnout as Moderators of the Job Demand-Control Model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박상언(Sang-Eon Park)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인사관리연구 제30집 2권, 45~7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0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과도한 직무요구와, 그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직무스트레스 혹은 직무소진과 관련해서는 지금까지 ‘직무요구-통제 모형’이 가장 대표적인 연구모형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유사한 직무여건에 처해 있으면서도 직무소진을 느끼는 정도에 있어서 사람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전제 하에, 직무요구-통제 모형에 ‘적극적 성격’과 ‘자기효능감’ 등 두 가지 개인차 변수를 투입한 확장 모형을 구성하고, 이러한 개인차 변수들의 조절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제조업 사무관리직에 종사하는 총 497명의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얻었다. 먼저, 이들 개인차 변수는 직무소진의 두 하위차원인 ‘고갈’(exhaustion)과 ‘일로부터의 심리적 이탈’(disengagement) 가운데 특히 ‘심리적 이탈’ 차원에 대해 부(-)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적극적 성격은 ‘고갈’ 차원에서, 그리고 자기효능감은 ‘심리적 이탈’ 차원에서, 직무통제와 직무소진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적극적 성격을 가진 사람일수록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큰 사람일수록, 직무소진에 대해 직무통제가 가지는 부(-)적 영향관계가 더 크게 나타났다. 하지만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직무요구와 직무통제, 그리고 이들 개인차 변수간의 3원 상호작용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경영관리적 의미와 본 연구의 한계점들이 토론되었다.

영문 초록

  Job Demand-Control(JD-C) model, proposed by R. A. Karasek, is currently perhaps the most influential theory on the job strain. According to this model, the job demand factors have their greatest negative impact when job control is low and job demands are high, whereas an increase in job control serves to attenuate the negative effects of job demands on strain.
  But previous research on the JD-C model has often failed to demonstrate the predicted interaction effect of job demand and job control on various measures of job strain.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neglect of work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 JD-C model may be responsible for its relative lack of empirical support. In this respect, two individual characteristics, proactive personality and self-efficacy, were included as potential moderators of the JD-C model in this current study. So,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test the moderating role of two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the JD-C model and its effects on employee burnout (i.e., exhaustion and disengagement).
  The analysi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497 white-color employee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f all, these tw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ffected the disengagement component of job burnout negatively. In addition, proactive personality and self- efficac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ontrol and job burnout. That is, job control attenuated or buffered the negative effects of job demand on burnout more strongly when the employee were proactive and had more self-efficacy. But we did not found the expected 3-way interaction effect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job control, and job demand when predicting job burnout. The implications of this analysi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then discussed.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가설
3. 연구의 방법
4. 분석 결과
5. 토론 및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영어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상언(Sang-Eon Park). (2006).직무요구-통제 모형에 의한 사원들의 직무소진(Job Burnout)에 관한 연구 - 적극적 성격과 자기효능감 변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0 (2), 45-71

MLA

박상언(Sang-Eon Park). "직무요구-통제 모형에 의한 사원들의 직무소진(Job Burnout)에 관한 연구 - 적극적 성격과 자기효능감 변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0.2(2006): 45-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