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거단지 외부공간의 친환경성 평가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이용수 149

영문명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Friendly Environment Valuation Indicator for the Exterior Space of Complex
발행기관
한국주택학회
저자명
임승남(Seung-Nam Lim) 이주형(Joo-Hyung Lee)
간행물 정보
『주택연구』주택연구 제14권 제2호, 195~22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0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존에는 전문가 집단에 의해 친환경 주거단지 조성 지표의 가중치가 만들어진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이용자들의 입장을 반영했다고 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친환경주거단지에 거주경험이 있는 거주민을 대상으로 친환경적 기준의 중요도를 파악하고, 향후 국내 주거단지 개발에 있어 주거단지의 친환경성 확보를 위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지표로 이용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친환경 주거단지 외부공간조성에 있어 AHP기법을 통하여 이용자들이 생각하는 환경친화적 요소들 사이의 가중치를 추출함으로써, 실제 사용자들의 고려사항을 접목하여 친환경 주거단지 외부공간의 방향을 도출하고자한다.
  2006년 4월 현재까지 준공되어 입주되어진 주거단지와 서울 및 수도권지역으로, 현장조사가 가능한 ‘친환경 건축물 인증 주거단지’를 대상으로 문헌을 통하여 선정된 평가지표를 토대로 설문조사함으로써 이용자의 중요도를 분석한다.
  그 분석결과는, 첫 번째, 친환경 주거단지의 외부공간을 조성함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평가되어야할 상위기준에서는 공생환경의 중요도가 60%가 넘어 다른 기준인 지구환경과 인간거주환경보다 큰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하위기준에서는 지구환경에서 생물서식공간조성이 50%를 넘어 다른 2개의 기준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인간거주환경에서는 단지조성의 중요도가 50%를 넘고 있어 3개의 다른 기준과 큰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공생환경에서는 자연자원의 활용이 약 70%로 다른 기준인 수자원절약보다 월등히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끝으로 세 번째, 평가기준은 전체의 약 40%인 표토재활용, 두 번째는 중우수이용으로 약 20%, 세 번째 중요한 기준은 3%인 육, 수생 비오톱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간, 자연 어느 것 하나만을 위한 외부공간이 아닌 서로 어우러진 외부공간이 가장 중요하다 생각함을 보여준다. 또한 친환경 주거단지 외부공간을 조성함에 있어 그 다음 중요시하는 기준은 인간의 편의임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exterior space in the green-housing complex throughout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by extracting the weight among friendly environment factors that the users are considering. This study has surveyed the certificated housing complex which have been constructed by April 2006, and been considered as eco-friendly building in the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rough the spot survey. this study also refers to sundry records to analyze users" importance on the basis of estimated standard. In the result of this analysis, Firstly, Symbiosis environment should be primarily estimated on the making exterior spaces of green housing complex.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priority of symbiosis environment is 60% more important than the other factors, earth environment and human residence environment. Secondly, Life habitation spaces on the low standard in a part of the earth environment are over fifty percents as compared with other two standards. And the importance of the formation of housing complex on the human residence environment is over fifty percents. This result shows there is big difference as compared with the three other standards. Conjugation of natural resources on the symbiosis environment is about 70% higher than saving of water resources. Lastly, valuation basis is divided into about forty percents in recycling of topsoil, about twenty percents of using rainwater, and three percents of terrestrial and aquatic biotop in accordance with the importance. The result of analysis is that the balance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human"s convenience is important standards, but the one is more greatly important than the other.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검토
Ⅲ. 분석의 틀
Ⅳ. 친환경 주거단지 외부공간 평가지표의 중요도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승남(Seung-Nam Lim),이주형(Joo-Hyung Lee). (2006).주거단지 외부공간의 친환경성 평가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14 (2), 195-220

MLA

임승남(Seung-Nam Lim),이주형(Joo-Hyung Lee). "주거단지 외부공간의 친환경성 평가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14.2(2006): 195-2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