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원노조의 노동법상 지위

이용수 214

영문명
Legal Status of the Teachers' Union III the Labour Law
발행기관
한국교육법학회
저자명
이상윤(Lee Sang Yoon)
간행물 정보
『한국교육법연구』한국교육법연구 제8집 제2호, 51~106쪽, 전체 56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01
9,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99년 1윌 29일 「교원의노동조합설립및운영등에관한법률」(이하 “교원노조법”이라 한다)이 재정되었다. 교원노조의 조합원은 교원이다. 교원은 노동조합 구성원으로서의 근로자라는 지위와 학교에서의 교육을 담당하는 스승으로서의 지위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교육은 유교적 전통하에서 상당히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관점에서 교원노조의 단체교섭에는 학부모 등 이해당사자의 견해는 물론 국민전체의 여론이 반영되어야 한다. 또한 단체교섭이 결렬되는 경우에도 파업 등 단체행동권의 행사가 제한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상조치(alternative measures)로서 직권중재가 인정될 수 있다. 또한, 교육의 직접적인 담당자로서 교육에 대한 전문가(professional)로서의 지위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교과서의 내용 및 학급정원의 결정 등 교육정책에 관하여도 가장 합리적이고 타당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전문가에 해당된다. 이는 교원의 단체교섭대상에 근로조건 뿐 아니라 교육정책도 포함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교원노조의 노사관계는 구성원, 조직, 활동, 교섭체계, 교섭대 상 및 노동쟁의조정에 있어 일반노조와 법적 체계를 달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련 법령은 구체화되어 있지 않고, 노사관행 역시 정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교원노조의 노사관계에 대한 새로운 파라다임의 구축이 시급하며, 우리나라의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 등 제 여건에 비추어 합리적이고 공정한 법적 체계가 조속히 정립 되어야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교원노조와 일반노조ㆍ교원단체간의 특수한 법적 성질이 비교ㆍ검토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교원노조 내부에서도 국ㆍ공립학교 교원과 사립학교 교원간의 차별화 역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교원노조의 지위와 역할의 정립은 교원이 근로자라는 지위에서 자신의 경제적ㆍ사회적 지위의 향상은 물론 교육이 중시되는 전통적 사회에서의 스승이라는 지위에서 교육백년지대계라는 책임과 의무를 이행하는 중요한 시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y enacted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the Teachers' Union Act in January 29, 1999. The members of the teachers' union are teachers. A teacher have the status as a labourer consisting of the labour union and at the same time as a master of the education. The education has been sublimely important In the Confucian tradition in Korea. In this aspect, the collective bargaining of the teachers' union needs to reflect the viewpoints of the interesting parts such as students' parents as well as all of the people. And the collective action may be restricted if the collective bargaining fails, where the authoritative mediation may be approved as the alternative measures And they hold education professional status in charge of the direct educator who can choose the most reasonable and proper decision for the contents of the texts and capacity of a class, etc. It means the object of the collective bargaining can include the education policy as well as the labour condition. The legal system of the teachers' labour relation is different In the members, organization, activities, bargaining system and labour mediation with the general labour union. Nevertheless the regulations are not concrete and the labour custom is not settled. Hence the new paradigm of the teachers' labour relations should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and the reasonable and proper legal system reflecting the political, social, economical, and cultural realities. In these courses, the specific legal characters of the teachers' unions and the general unions should be compared and reviewed, also the distinction between teachers of the private school and public school should be studied. Hereafter, the standing of status and function of teachers' union would be the important touchstone for the teachers' status as the labourers and the educational professionals in this society where the education means the very important national policy even for 100 years.

목차

국문초록
Ⅰ. 序
Ⅱ. 교원노조의 법적 지위
Ⅲ. 교원노조의 단결권
Ⅳ. 교원노조의 단체교섭권
Ⅴ. 단체교섭의 실효성 확보
Ⅵ. 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윤(Lee Sang Yoon). (2005).교원노조의 노동법상 지위. 한국교육법연구, 8 (2), 51-106

MLA

이상윤(Lee Sang Yoon). "교원노조의 노동법상 지위." 한국교육법연구, 8.2(2005): 51-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