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논문] 環境史 硏究 序說: 마쉬의 비판적 환경인식에서 성찰에 기초한 탈근대적 환경윤리의 정립까지
이용수 292
- 영문명
- [ARTICLES] Towards an Environmental History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홍금수(Keumsoo Hong)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17권 제3호, 69~10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313/31321.jpg)
국문 초록
인간과 자연의 관계는 지리사상사의 오랜 쟁점으로서 이원론의 관점에서 다양한 유형으로 정립되었다. 그 가운데 인간본위의 환경관은 근대 계몽주의의 등장으로 확고한 뿌리를 내리게 되며 과학기술을 통한 자연의 지배를 정당화하고 결과적으로 환경의 파괴를 묵인하였다. 마쉬는 인류문명의 무분별한 환경파괴의 실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인간과 자연』을 통해 고발하였으며, 그의 비판적 환경인식은 환경사의 성립에 토대를 마련하였다. 시간, 공간, 인간, 환경의 구성요소를 가지는 환경사는 현재 구미권을 중심으로 독립된 연구분야로 성장하고 있다. 이원론에 입각한 환경관, 마쉬의 비판적 환경인식, 환경사 연구에 대한 논의는 환경훼손을 방관하고 조장한 근대와 근대성에 대한 성찰을 매개로 건전한 환경윤리를 회복하고 환경정의를 실천하는 것이 인류를 위한 최선의 길이라는 결론으로 이끈다. 근대를 반성한다는 것은 단순한 비판의 차원을 뛰어넘어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마리 역시 근대 이성의 합리적 판단과 근대 인문학의 성찰의 잠재력에서 찾아야 한다는 현실지향적 인식의 전환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e Man-and-Land paradigm in the history of geographical thought has customarily been discussed on the intellectual line of dualism. This article revisits the human-centered view of nature consolidated with the emergence of the modern intellectual spirit of Enlightenment which is, on the philosophical basis of reason, harmony and progress, to do justice to the control of nature by human agency. The domination rhetoric conspires to pay a blind eye to the destruction of environment. It was G.P. Marsh who problematized the human-induced environmental degradation with the publication of a path-breaking work of Man and Nature in 1864. The provocative oveure turned out to have laid a foundation for the emergence of environmental history as a solid discipline. The discussion on the culture-nature dualism, Marsh’s critical understanding of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history leads to the reawakening of environmental ethics and justice in the age of risk society. The reflection on modernity will serve as the last reliance to reinstate the harmonious man-and-land relationship.
목차
요약
Abstract
1. 머리말
2. 環境史 論議의 背景 : 人間ㆍ自然 二元論과 人間本位의 環境觀
3. 마쉬의 批判的 環境認識과 環境史의 定礎
4. 環境史의 成立과 硏究의 實際
5. 環境史 外綠의 擴張 : 近代性의 省察과 環境倫理의 定立
6. 結論
Acknowledgement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논문] 環境史 硏究 序說: 마쉬의 비판적 환경인식에서 성찰에 기초한 탈근대적 환경윤리의 정립까지
- [논문] 경상도 군현의 형성과 변화 과정
- [논문] 경관 풍수의 본질과 명당의 선정 기준: 북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하여
- [논문] 近代交通體系 發達모델의 韓半島 適用에 있어서의 問題點
- [논문] 근ㆍ현대 한 민촌의 경관 변화와 장소성의 전개
- [학술세미나] 지난 40년을 되돌아보면서
- [단보] 시간과 지리 : 시간에 대한 인식의 역사와 시간지리학의 탄생
- [학회소식] 외
- [학술세미나] 코스타리카 커피경제의 시-공간적 전개와 지역적 차이
- [국내학술답사기(Ⅰ)] 클럽문화, 다양한 소리로 흥대지역을 바꾸다 - 서울 흥대지역 underground 문화현장을 찾아서 -
- [서평] Old Maps of Korea, Lee Chan. 2005. trans. Kim Sarah, superv. Yang Bo-Kyung. Bumwoo Publishing Co. Ltd.
- [번역문] 林野整理調査內規
- [학술세미나] 『海東諸國紀』地圖와 朝鮮前期 朝鮮 - 日本關系
- [학술세미나] 楸哥嶺 地名考
- [논문] 김정호의 《東輿圖》 제작 시기에 대한 일고찰
- [학술세미나] 금강산 관광의 담론분석 : 자연의 사회적 구성
- [국내학술답사기(Ⅱ)] 지리학적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제주해녀문화 관광에서의 진정성 인식과 형성 - 제주 ‘해녀의 부엌’을 사례로
- 조선시대 도로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과 사례 연구 - 양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 읍치의 여제(厲祭) 의례와 여단(厲壇)의 장소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