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논문] 근ㆍ현대 한 민촌의 경관 변화와 장소성의 전개
이용수 318
- 영문명
- [ARTICLES] A Study on the Landscape Change and Placeness of a Commoners’ Settlement in Modern Times of Korea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전종한(Jong-Han Jeon)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17권 제3호, 40~55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20세기 초반까지 한반도의 중심적 생활공간이 촌락 지역이었음을 인식하고, 전통적 생활공간으로서의 촌락이 근ㆍ현대 동안 경관과 장소성의 측면에서 어떠한 변화를 보여 왔는지 살펴본 것이다. 특별히 연구 지역은 민촌적 배경을 가진 충남 부여군의 한 마을로서, 지난 세기 동안 이 촌락을 둘러싼 사회ㆍ경제적 환경은 크게 바뀌었고 이것은 촌락의 급속한 경관 변화로 이어졌다. 연구자는 근ㆍ현대시기 동안 이 촌락이 보여준 공간적 특징이 바로 ‘경관 변화의 역동성’에 있음을 주목하고, 그것을 이해하기 위해서 마을의 제 경관과 장소들에 함축된 사회적 과정들을 읽어내고자 하였다. 민촌적 배경의 촌락임을 반영하듯 이 마을의 생태적 환경과 입지는 상당히 열악하였으며, 20세기 초의 경지 구획 패턴에는 금강 본류 연안의 상습침수지와 싸워 온 촌락민의 개척 과정이 반영되어 있었다. 또한 불확실한 자연환경 및 전통시대의 사회적 열세에 대처해나가는 과정에서 사회적 국면에서는 사회주의적 집단의식이, 공간적 국면에서는 무속신앙 및 근대적 종교를 비롯한 일련의 종교적 경관과 장소들이 출현하였고, 이들 요소는 환경적 한계에 대한 촌락미의 적응 과정의 산물이라고 이해하였다. 이 외에 공동체의식을 표상하는 장소들이 주목되었다. 포함과 배제의 문제 및 마을 영역의 경계에 민감한 여느 사족촌락들과는 달리, 사례 마을에서 보이는 공동체의식에 제 장소들은 외부세계에 대한 경계보다는 내부 세계를 지향한 중심성의 장소들이자 영역성의 개방성을 보여주는 장소로서 해석되었다.
영문 초록
Rural area had been the general lived space until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in Korea. In this paper, the author examined the landscape change and placeness that a commoner’s settlement have experienced during modem times. The modem times of commoner’s settlements in Korea have been a dramatical era in the transition of social identity and the landscape change in contrast with that of the yangban(nobility)’s settlement.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surrounding the commoners’ settlement have been transformed rapidly, and these current changes exert influence upon the landscape change and placeness in settlement. In study area, the group consciousness and the social process we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reclamation. And the religious landscapes and places that were headed by shamanism signified the residents' adaptational strategies.
목차
요약
Abstract
1. 머리말
2. 연구 지역의 인문지리적 환경
3. 근ㆍ현대의 경관 변화와 공간 구조
4. 경관과 장소들에 내포된 사회적 과정
5. 맺음말
註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논문] 環境史 硏究 序說: 마쉬의 비판적 환경인식에서 성찰에 기초한 탈근대적 환경윤리의 정립까지
- [논문] 경상도 군현의 형성과 변화 과정
- [논문] 경관 풍수의 본질과 명당의 선정 기준: 북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하여
- [논문] 近代交通體系 發達모델의 韓半島 適用에 있어서의 問題點
- [논문] 근ㆍ현대 한 민촌의 경관 변화와 장소성의 전개
- [학술세미나] 지난 40년을 되돌아보면서
- [단보] 시간과 지리 : 시간에 대한 인식의 역사와 시간지리학의 탄생
- [학회소식] 외
- [학술세미나] 코스타리카 커피경제의 시-공간적 전개와 지역적 차이
- [국내학술답사기(Ⅰ)] 클럽문화, 다양한 소리로 흥대지역을 바꾸다 - 서울 흥대지역 underground 문화현장을 찾아서 -
- [서평] Old Maps of Korea, Lee Chan. 2005. trans. Kim Sarah, superv. Yang Bo-Kyung. Bumwoo Publishing Co. Ltd.
- [번역문] 林野整理調査內規
- [학술세미나] 『海東諸國紀』地圖와 朝鮮前期 朝鮮 - 日本關系
- [학술세미나] 楸哥嶺 地名考
- [논문] 김정호의 《東輿圖》 제작 시기에 대한 일고찰
- [학술세미나] 금강산 관광의 담론분석 : 자연의 사회적 구성
- [국내학술답사기(Ⅱ)] 지리학적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제주해녀문화 관광에서의 진정성 인식과 형성 - 제주 ‘해녀의 부엌’을 사례로
- 조선시대 도로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과 사례 연구 - 양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 읍치의 여제(厲祭) 의례와 여단(厲壇)의 장소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