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논문] 近代交通體系 發達모델의 韓半島 適用에 있어서의 問題點
이용수 174
- 영문명
- [ARTICLES] After Thought on the Model of Modern Transportation System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도도로키 히로시(Hiroshi Todoroki)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17권 제3호, 56~68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근대’라는 말의 쓰임새는 동양과 서양에서 같이 않고, 같을 수도 없다고 본다. 보통 담론으로 말해지는 ‘근대’란 산업혁명에서 제국주의에 이르는 서양식의 근대 담론일 것이다. 그 경우 동양의 근대란 서양의 잣대로 형성된 근대에 불과한 경우가 많고, 지역연구의 학설에 있어서도 서양식의 견해가 그대로 적용될 경우가 많다. 제국주의시대 이후의 교통체계 변화에 대한 연구도 그렇다. 하지만 서양의 식민지 근대교통 발달모델은 첫째 어디부터 근대교통이고, 어디까지 전근대 교통인지에 대한 자의성을 지니고, 둘째, 한반도의 특수성 특히 지정학적, 지리학적, 요인을 별로 교려하지 않았고, 셋째, 전근대 교통로의 존재를 거의 무시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한반도에 그대로 적용시키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Even Oriental geographers, including Korean, have accepted the Western theories about ‘modern’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They tried to apply them for Asia uncritically. Nevertheless, each Asian nations has their own circumstance which is not able to measure by the Western standard. In case of Korea, for instance, for the sake of their specific geopolitical, geographical, and historical conditions, there are lots of phenomena about transportation development that we cannot explain applying the Western results.
목차
요약
Abstract
1. 序論
2. 近代交通史와 關聯된 旣存의 學說動向
3. 한반도의 ‘근대’ 교통체계 변화에 관한 학설
4. 한국형 근대교통체계 변화란 무엇인가: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논문] 環境史 硏究 序說: 마쉬의 비판적 환경인식에서 성찰에 기초한 탈근대적 환경윤리의 정립까지
- [논문] 경상도 군현의 형성과 변화 과정
- [논문] 경관 풍수의 본질과 명당의 선정 기준: 북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하여
- [논문] 近代交通體系 發達모델의 韓半島 適用에 있어서의 問題點
- [논문] 근ㆍ현대 한 민촌의 경관 변화와 장소성의 전개
- [학술세미나] 지난 40년을 되돌아보면서
- [단보] 시간과 지리 : 시간에 대한 인식의 역사와 시간지리학의 탄생
- [학회소식] 외
- [학술세미나] 코스타리카 커피경제의 시-공간적 전개와 지역적 차이
- [국내학술답사기(Ⅰ)] 클럽문화, 다양한 소리로 흥대지역을 바꾸다 - 서울 흥대지역 underground 문화현장을 찾아서 -
- [서평] Old Maps of Korea, Lee Chan. 2005. trans. Kim Sarah, superv. Yang Bo-Kyung. Bumwoo Publishing Co. Ltd.
- [번역문] 林野整理調査內規
- [학술세미나] 『海東諸國紀』地圖와 朝鮮前期 朝鮮 - 日本關系
- [학술세미나] 楸哥嶺 地名考
- [논문] 김정호의 《東輿圖》 제작 시기에 대한 일고찰
- [학술세미나] 금강산 관광의 담론분석 : 자연의 사회적 구성
- [국내학술답사기(Ⅱ)] 지리학적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본다는 것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제주해녀문화 관광에서의 진정성 인식과 형성 - 제주 ‘해녀의 부엌’을 사례로
- 조선시대 도로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과 사례 연구 - 양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 읍치의 여제(厲祭) 의례와 여단(厲壇)의 장소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