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aradigm Shift in Education in the Era of Generative AI and the Redefinition of Teachers' Roles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윤서원
- 간행물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제80권, 109~12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생성형 AI(Generative AI) 기술이 교육 현장에 미치는 다각적인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특히 교사의 역할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AI 활용 방안을 체계적으로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내용] 본 연구는 국내 생성형 AI 활용 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활용, RISS, KISS 등 온라인 DB에서 2025년 1월까지 출판된 문헌을 수집, PRISMA 가이드라인에 따라 문헌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AI 기술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한계, 교사의 역할 변화를 심층 분석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 생성형 AI는 맞춤형 학습 콘텐츠 생성, 교사의 업무 효율성 증대, 창의적 학습 활동 지원, 학습 분석 및 개인별 피드백 제공 등 다양한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데이터 편향성, 저작권 침해, 개인 정보 보호 문제 등 윤리적 문제와 교사의 역할 축소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생성형 AI 기술의 성공적인 교육 현장 도입을 위해 교사 역량 강화, 윤리적 가이드라인 마련, 학생 중심 교육 설계, 교육 시스템의 공공성 확보, 지속적인 연구 및 평가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multifaceted impact of Generative AI technology on educational setting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changing roles of teachers, and to systematically explore effective strategies for utilizing AI in educational environments.
[Contents] This study employ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to investigate domestic research trends on generative AI in education. Data was collected from online databases (RISS, KISS, etc.) for publications up to January 2025, with literature selection and analysis conducted according to PRISMA guidelin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Generative AI holds various educational values, including creating customized learning content, increasing teacher work efficiency, supporting creative learning activities, learning analysis, and providing personalized feedback. However, concerns were also raised regarding ethical issues like data bias, copyright infringement,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s well as the potential reduction in the role of teachers. This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teacher competency enhancement, the establishment of ethical guidelines, student-centered educational design, securing the public nature of educational systems, and continuous research and evaluation for the successful integration of Generative AI technology into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생성형 AI의 정의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