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상적 인간과 사회에 관한 다산과 증산의 사유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Dasan’s and Jeungsan’s Ideas on Ideal Human Beings and Society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최정락
- 간행물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제80권, 39~5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이성적 방식의 이론과 차별화되는 다산 정약용과 증산 강일순의 종교적 도덕 실천론이 궁극적으로 개인과 사회의 변혁을 지향한다는 점을 논증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다산과 증산은 도덕적 수양을 통해 이상적인 인간상을 구현하고, 이러한 개인의 변화가 사회 변혁으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특히 상제를 중심으로 하는 종교적 실천을 강조한 점은 두 사상의 공통된 특징이다. 그러나 두 사상가는 구체적인 논의 방식에서 차이를 드러낸다. 다산은 상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도덕적 실천을 강조하였으며, 그의 주요 저작인 일표이서(一表二書)에서 상제-군주-목민관-백성을 연결하는 통일된 질서 체계를 반영하여 사회개혁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증산은 인간이 수양을 통해 도통군자(道通君子)가 될 수 있다고 여겼으며, 천지공사(天地公事)를 통해 상생의 세계인 후천선경이 도래한다고 주장하였다.
[결론] 다산과 증산은 도덕적 실천을 통한 개인의 변화와 사회 구조의 개혁을 모두 강조하였다. 특히, 상제를 중심으로 하는 종교적 방식의 도덕 실천을 통해 이상세계의 구현을 지향하였다는 점은 두 사상의 핵심적인 공통점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다산은 기존 질서 내의 개혁을, 증산은 새로운 세계의 도래를 통한 변혁을 추구하였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며, 이는 각 시대의 시대적 과제와 문제의식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at the religious-moral practical theories of Dasan and Jeungsan, which are distinct from rationalist theories, ultimately pursue the transformation of individuals and society.
[Contents] Dasan and Jeungsan shared a focus on Sangje-centered moral cultivation for individual and social transformation, but their methods differed. Dasan emphasized moral practice based on his understanding of Sangje. In in his major work, Ilpyo Yiseo, he presented a direction for social reform by reflecting a unified order system connecting Sangje, the monarch, local officials, and the people. Jeungsan argued that individuals could become sages enlightened to the Dao through cultivation, asserting that the earthly paradise in the Later World, a world of Sangsaeng(mutual beneficence), would arrive through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Conclusions] Dasan and Jeungsan both emphasized individual and social transformation through Sangje-centered religious moral practice, aiming to realize an ideal world. However, Dasan sought reform within the existing order, while Jeungsan envisioned a new world. Their different thoughts reflect the task and critical mind of the times in historical contexts.
목차
Ⅰ. 서론
Ⅱ. 이상적 인간
Ⅲ. 이상적 사회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종교교육학연구> 30년 연구 동향 분석
- 신약성경의 “이웃”(περίοικος, πλησίον, γείτων)의 용례와 생태학적 의미로 확장된 이웃사랑의 가르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