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플라톤의 『 국가』2권 재해석

이용수 15

영문명
Plato’s Politeia Reconsidered: Book 2
발행기관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장지원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47권 제1호, 213~23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플라톤의 『 국가』2권은 크게 ① 아테네인들의 인간 본성론 ② 플라톤의 공동체 이론 ③ 수호자 교육론의 셋으로 요약할 수 있다. 지금까지 연구되었던 『 국가』의 교육론이 대체로 ③에 치중했음을 감안하여, 이번 논문에서는 ①, ②에 대한 검토를 집중적으로 시도하면서 ③의 재해석 가능성을 타진해본다. ① 글라우콘과 아데이만토스의 이야기는 고대 아테네인들의 윤리의식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당시 아테네인들이 이해했던 재물과 명예에 대한 선망이 기게스의 이야기와 그 이후에 제시되는 가정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하지만 기게스의 행동에 내재된 윤리적 태도가 과연 인간의 보편적 행동양식인지는 재고해볼 필요가 있다. 타 문명권의 구비설화에서는 기게스와 다른 행동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철학적 고찰의 기본 배경 측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② 『 국가』2권에서 플라톤이 묘사한 사회 공동체의 전개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등장하는 전쟁에 대한 이해가 타당하냐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동시대에 희랍철학과 대등한 수준의 철학적 성과를 이루었던 동아시아의 제자백가나 인도철학에서는 전쟁에 대한 상이한 관점을 확인할 수 있다. 『 도덕경』과 『 바가바드 기타』는 『 국가』와 마찬가지로 높은 철학적 통찰을 보여준 고전이지만, 사회 속에서 나타나는 갈등의 양상과 해소의 방안 면에서는 『 국가』와 큰 차이를 드러냈기 때문이다. 플라톤의 『 국가』2권은 플라톤의 교육론을 연구하는 데 있어 논의의 예비단계라 할 수 있다. 인간과 사회에 대한 플라톤의 기본 전제를 점검하고,『 국가』에서 플라톤이 제시하는 교육론의 이면을 다층적으로 고찰할 수 있을 때 플라톤의 교육론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my understanding, it has at least 2 prerequisite on Plato’s educational theory described in book 2. Ancient athens, where moral skepticism was broadly normal and endless war and battle came to fatigue the whole society, was the basis of Plato’s political and philosophical theory. So I tried to investigate Plato’s hypothesis on human being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cieties. The heroic myth of Gyges in book 2 shows the moral condition of Pericles’ Athens. A shepherd who had magical power directly plan to kill a king and steal the monarch. This story has a lot of differency compared to Korean folk-tale and Timor genesis myth. The genesis of war and battle is connected to Plato’s educational theory especially for guardians. Greedy society needs more lands and territories that makes war inevitable in every society. For Plato, it was urgent to educate well-prepared and morally concrete guardians for keeping the society safe and sound. However we can find different understanding on the flux of society and war especially on Tao Te Ching and Bhagavad Gītā. We are recommended in depth philosophical thinking from these literatures which shows different opinions from the Plato’s philosophical basis. Then we can reach more general educational theory.

목차

Ⅰ. 서 론
Ⅱ. 기게스 영웅 설화: 인간 본성에 관한 이해
Ⅲ. 전쟁에 대한 관점: 사회 공동체와 갈등에 대한 이해
Ⅳ. 『국가』교육론 정립의 전제: 본성과 양육의 관계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지원. (2025).플라톤의 『 국가』2권 재해석. 교육연구, 47 (1), 213-238

MLA

장지원. "플라톤의 『 국가』2권 재해석." 교육연구, 47.1(2025): 213-2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