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및 학교 특성 탐색
이용수 28
- 영문명
- Exploring Teacher and School Characteristics Affecting Teacher Efficacy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차성현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47권 제1호, 29~5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남교육종단연구(Jeonnam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학교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및 학교 특성을 탐색하였다. 중학교 106개교, 교사 560명의 위계적 자료 구조를 반영하여 2수준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수준에서는 성별, 교직경력, 교직 내재적 선택동기, 교직만족도, 교수학습지도역량, 생활지도역량, 학교건물시설상태, 학생수업준비정도, 교사연구모임 등이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수준에서는 학부모의 교육지원만이 학교 간 교사효능감의 차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최종학력, 보직여부, 직무연수(교육과정,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 생활지도상담), 교육활동 방해 요인(수업기자재준비, 학급당 학생수, 수업 중 일탈행동, 학부모의 지나친 관심, 지나친 행정업무) 등의 교사수준 변수, 교육취약계층학생, 작은학교, 학생 게임・인터넷 중독, 사교육비, 공모교장, 학교재정지원사업, 교장수업지도성 등의 학교수준 변수는 교사효능감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효능감 향상을 위해 교내외 자발적 교사연구모임 활성화, 학부모교육 강화, 학교-가정의 협력 강화, 학교교육시설환경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Using the 5th-year (2002) data from the Jeonnam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JELS), this study explored the teacher and school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teacher efficacy among middle school teachers. A two-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hierarchical data from 560 teachers across 106 middle school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At the teacher level, factors such as gender, teaching experience, intrinsic motivation for entering the teaching profession, job satisfaction, participation in teacher study groups, teaching competency, student management competency, school facility conditions, and students' class preparedness significantly influenced teacher efficacy. At the school level, only parental support for education was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between schools. In contrast, variables such as the highest educational attainment, leadership roles,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training (e.g., curriculum, teaching methods, assessment methods, counseling), factors disrupting educational activities (e.g., preparing teaching materials, class size, student misbehavior, excessive parental involvement, administrative tasks), disadvantaged student populations, small schools, student internet and gaming addiction, private education expenses, principal through a recruitment process, principal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school financial support from government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eacher efficac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promoting voluntary teacher study groups, strengthening parental education programs, enhancing school-family collaboration, and improving school facility environments to enhance teacher efficacy in middle school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대의 교육목적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청소년의 자해 과정 및 멈춤 과정에 대한 질적연구
-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및 학교 특성 탐색
- 전국 근로자의 23년간 일자리 이동 유형과 전이 영향 분석: 잠재전이분석(LTA)을 적용하여
- 팬데믹 시기 온・오프라인 병행 학습 환경에서의 학습 격차: 학교 대응의 조절 효과 분석
- 대학입학에서 준비한 전형유형과 활용한 전형유형, 대학진학결과의 관계 분석
- 상위교육 역량강화 전략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 주자(朱子) ‘기질지성(氣質之性)’을 통해 본 ‘제2차 인성교육 종합계획’ 고찰:『주자어류(朱子語類)』를 중심으로
- 플라톤의 『 국가』2권 재해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척도 검사 설계를 적용한 수직척도화
-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 주요 예측변수 탐색: XGBoost 및 SHAP 적용
- 초등학교 수학 기초학력 진단검사 문항난이도와 문항변별도에 미치는 요인 탐색 및 예측 모형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