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인식 개선에 관한 연구 -반성적 저널 쓰기와 소그룹 토의 수업을 중심으로-

이용수 4

영문명
Exploring the meaning of education to enhance disability awarenes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ting in introductory special education courses -focusing on reflective journal writing and small group discussions-
발행기관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저자명
남효순 이정아
간행물 정보
『영유아교육지원연구』제9권 제3호, 127~15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반성적 저널 쓰기와 소그룹 토의를 중심으로 한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인식 개선에 관한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특수교육학개론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27명이다. 수업을 진행하는 동안 소그룹 토의 활동과 반성적 저널 쓰기는 주차 별 학습 주제를 기반으로 하였고, 면담, 토의 과제 수행자료, 연구자일지, 수업 결과물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에 대한 질적 분석을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들에게 나타난 장애인식 개선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 지도에 대한 두려움 대신 장애아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둘째, 장애를 지원하는 교사와 보호자의 어려움을 공감하게 되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로서 장애아와 함께 배움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다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넷째, 장애 체험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게 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반성적 성찰 및 소그룹 토의를 통한 교수-학습 과정은 장애인식 개선 교육에 보다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xplore the educational meaning of improving disability awarenes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and small group discussions, as well as related class design.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2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the course. During the class, reflective journal writing and small group discussion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class, based on weekly learning topics. Data were collected, including reflective journals, in-depth interviews, discussion task performance data, researcher logs, and class outcomes.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improving disability awarenes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education that transforms the fear of teach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to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bout them. Second, the meaning of education that fosters empathy for the challenges faced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ir teachers, and their parents. Third, the meaning of education that fosters mutual growth among teachers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urth, the need for disability experience education was recognized and a sense of community was cultivated. The study provides that the collaborative process of reflective thinking and discussion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has a more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disability aware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I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효순,이정아. (2024).특수교육학개론 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인식 개선에 관한 연구 -반성적 저널 쓰기와 소그룹 토의 수업을 중심으로-. 영유아교육지원연구, 9 (3), 127-152

MLA

남효순,이정아. "특수교육학개론 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인식 개선에 관한 연구 -반성적 저널 쓰기와 소그룹 토의 수업을 중심으로-." 영유아교육지원연구, 9.3(2024): 127-1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