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아반 초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경험의 의미
이용수 0
- 영문명
- The meaning of a novice infant teacher’s experience in implementing a play-based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 저자명
- 조영주 장유진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지원연구』제9권 제3호, 47~6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아반 초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 위치한 직장, 국공립, 법인단체 어린이집, 경기도 위치한 국공립어린이집 4기관의 영아반 초임교사 5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와 1~3회 면담을 가졌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초임교사는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처음으로 실행하면서 담임으로서 자신의 미숙함으로 인해 미안함을 느끼는 모습과 마주하게 되었다. 둘째, 영아반 초임교사는 다양한 경험이 있는 선배교사를 따라 하면서 효율적인 놀이 지원을 모방하고 연습하였으며, 자신만의 노하우를 찾아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긍정적으로 경험하게 되었다. 셋째, 영아반 초임교사는 경험 미숙의 한계를 열정과 최선으로 극복하였는데, 수업을 준비하면서 영아들의 진짜 놀이를 지원하고 영아 관찰의 중요성을 느끼며 교사로서의 민감성을 형성해 나갔다. 본 연구는 기존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주요하게 논의되지 않았던 영아반 교사, 그 중에서도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 영아반 초임교사가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보람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영아반 초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meaning of novice teachers' experiences in implementing a play-based curriculum in infant classrooms. Five novice teachers from four institutions, including workplace, public, and corporate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public childcare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1 to 3 tim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ovice teachers in infant classrooms faced feelings of guilt due to their perceived inadequacies as homeroom teachers while implementing the play-based curriculum for the first time. Second, these novice teachers imitated and practiced the effective play support methods of experienced senior teachers, which helped them develop their own expertise and positively experience the play-based curriculum. Third, the novice teachers overcame the limitations of their inexperience with enthusiasm and effort, preparing lessons that supported authentic play and realizing the importance of observing infants, thereby developing their sensitivity as educato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focus on novice teachers in infant classrooms, a group that has not been extensively discuss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on play-based curricula, and in revealing both the challenges and rewards these teachers experienced during curriculum implementation. This study provides direction for enhancing the implement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lay-based curricula for novice teachers in infant classroom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나가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