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시민성 역량 척도의 구인타당도 검증 및 연령집단 간 차이 분석

이용수 7

영문명
Exploring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digital citizenship competency scale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nalyzing differences among age groups
발행기관
한국영유아교육지원학회
저자명
박창현 황지선
간행물 정보
『영유아교육지원연구』제9권 제3호, 71~9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시민성 역량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해보고, 예비 유아교사의 연령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G지역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97명을 대상으로 2024년 5월 6일부터 5월 14일까지 디지털 시민성 역량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는 UNESCO(2019)의 문항을 수정·번역하여 구성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으로 SPSS 21.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67개의 문항 중 30개 문항인, ‘디지털 리터러시’ 11문항, ‘디지털 참여 및 주도성’ 6문항, ‘디지털 안전 및 회복탄력성’ 5문항, ‘디지털 감성지능’ 4문항, ‘디지털 창의성과 혁신’ 4문항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24세 연령 집단이 ‘디지털 참여 및 주도성’과 ‘디지털 창의성과 혁신’ 역량에서 다른 연령 집단보다 평균적으로 더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예비유아교사 간 연령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study is to validate the construct validity of digital citizenship competency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analyze differences among age groups of these teachers. To achieve this, an online survey on digital citizenship competency was conducted from May 6 to May 14, 2024. A total of 297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the G area participated.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1.0, includ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11 items related to ‘Digital Literacy’, 6 items related to ‘Digital Participation and Agency’, 5 items related to ‘Digital Safety and Resilience’, 4 items related to ‘Digital Emotional Intelligence’, and 4 items related to ‘Digital Creativity and Innovation’ were valid.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Digital Participation and Agency’, as well as ‘Digital Creativity and Innovation’, between age groups, with higher averages observed in the third- and fourth-year(Ages 20-24) group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창현,황지선. (2024).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시민성 역량 척도의 구인타당도 검증 및 연령집단 간 차이 분석 . 영유아교육지원연구, 9 (3), 71-92

MLA

박창현,황지선.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시민성 역량 척도의 구인타당도 검증 및 연령집단 간 차이 분석 ." 영유아교육지원연구, 9.3(2024): 7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