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교사의 문화적 초인지와 다문화 진로교육 인식의 관계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Teachers' Cultural Metacognition and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Career Education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 저자명
- 강인구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제45권 제3호, 81~10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사들의 문화적 초인지가 다문화 진로교육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교육적 필요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교사들은 높은 문화적 초인지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역의 중등학교 교사 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 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 단순선형회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문화적 초인지는 교사들의 다문화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유의미한 높은 상관을 보였다. 문화적 초인지와 다문화 진로교육 인식의 평균치에서도 인문사회 계열 교사들이 자연계열 교사에 비해 평균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교육대학원 진로진학상담전공 재학기간이 길수록 다문화 진로교육 인식에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도 문화적 초인지는 다문화 학생들을 위한 진로 진학 지도 능력과 관련해 유의미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문화적 초인지가 다문화 진로교육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교사의 문화적 초인지를 강화하여 다문화 학생의 교육적 성과를 향상시키는 교육 정책과 연수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cultural metacognition on their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career education. Teachers require a high level of cultural metacognition to effectively address the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This study surveyed 77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Correlation analysis, t-tests, one-way ANOVA, and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cultural metacognition was significantly highly correlate with teachers'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 career education. The average scores for cultural metacognition and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career educ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teacher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han among those in the natural sciences. Furthermore, the length of enrollment in graduate programs specializing in careers and academic counsel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cultural metacognition. Regression analysis also demonstrated that cultural metacognition has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concerning the ability to guide multicultural students’ careers and academic paths. Therefore, cultural metacognition was identified as a crucial variable influencing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career educ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educational policies and training programs aimed at enhancing teachers' cultural metacognition to improve the educational outcomes of multicultura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환경교육프로그램 구성과 실행에서의 유아의 경험 탐색
- 기후재난 시대의 생태시민교육 -청주시 S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영유아기 부모의 양성평등 양육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중등교사의 문화적 초인지와 다문화 진로교육 인식의 관계
- 1960년대 여자상업고등학교 확대와 교육 기능 확립
- 학생서포터즈 활동이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에 미치는 영향
- 수학적 연결 역량 교육을 위한 ChatGPT의 설명 성능 분석 -일차함수를 중심으로-
- 한국과 캄보디아의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관점에서 본 정조의 생활양식 분석
- 교육회복 관련 신문기사에 대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 연구
- 유산 교육을 위한 문화유산 복원의 다양성 탐색 -이탈리아 문화유산 복원 경향을 중심으로-
- 인성교육의 효과성 진단을 위한 검사도구 개발 -공동체적 인성을 중심으로-
- 대학의 성인학습자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Plagiarism: Focusing on the Need for Ethics Education
- 전공자율선택제 선발생 학사지도를 위한 학습경험 로드맵 개발 사례
- 전통 윤리사상에 관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 ADDIE 모형과 『논어(論語)』를 중심으로
- 국내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학교급별 건축프로그램 및 계획 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서의 영어 의사소통 역량의 개념적 모순과 실천적 한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기술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의 변화와 교사 역량의 새로운 정의
- 한국어 학습자와 생성형 인공지능의 대화 구조 분석 연구
- [토론] “한국어 학습자와 생성형 인공지능의 대화 구조 분석 연구”에 대한 토론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