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생의 디지털 역량 유형에 따른 학습 및 심리 특성 차이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Differences in Learning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ype of Digital Competence of High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김연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4권 제4호, 231~26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서울시교육청 서울학생종단연구(SELSS 2020)의 1차년도(2021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문계 고등학생의 디지털 역량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집단에 따른 학업, 심리적 특성 및 디지털 활용에의 특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디지털 역량을 지표변인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실시하여 최적의 수를 결정하고, BCH방법을 사용한 3단계 접근법으로 학업 요인, 심리특성 및 디지털 활용에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디지털 역량의 개인간 차이가 나타났고, 전반적 저수준(4.0%), 전반적 중수준(14.5%), 소통중심 중수준(9.0%), 전반적 고수준(72.4%)의 4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디지털 역량은 중수준이면서 정보・학습 용도로 사용하는 학생들의 학업성취가 가장 높았고, 소통 중심으로 사용한 학생들의 학습태도, 자기조절학습 능력이 가장 높았다. 또한 목표의식도 높게 나타났다. 디지털 역량이 가장 높은 학생들은 능력신념이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디지털 환경을 조성하고, 교사 교육을 강화하는 것에 앞서 학생들의 디지털 역량을 세심하게 파악하고, 저수준 학생의 디지털 효능감 제고를 위한 사전 교육 프로그램, 멘토-멘티 프로그램 등을 제안하였다. 학생들 스스로 디지털 기기의 활용 목적을 자각하고, 디지털 윤리의식 가지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교육문화와 풍토 조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Using data from the first year (2021) of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Student (SELSS 2020), this study classified potential profiles according to digital competencies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explored the differences in academic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gital use according to groups. Method: The optimal number was determined by conducting latent profile analysis(LPA) with digital competency as an indicator variable, and differences in academic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gital use were verified by a three-step approach using the BCH method. Results: Differences in digital competency among individuals were observed, and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Students with medium-level digital competency who used digital tools primarily for information and learning purposes achieved the highest academic performance. Meanwhile, students who used digital tools with a focus on communication demonstrated the highest levels of learning attitude,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and goal orientation. Additionally, students with the highest level of digital competency exhibited a strong sense of ability belief. Conclusion: Before creating a digital environment and enhancing teacher training, it was suggested to carefully assess students' digital competency. For students with low digital competency, pre-education programs and mentor-mentee initiatives were proposed to boost their digital self-efficacy. It is crucial for students to be aware of the purpose of digital devices and to develop a sense of digital ethics.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an educational culture and atmosphere that support these goa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연. (2024).고등학생의 디지털 역량 유형에 따른 학습 및 심리 특성 차이 분석. 교육혁신연구, 34 (4), 231-262

MLA

김연. "고등학생의 디지털 역량 유형에 따른 학습 및 심리 특성 차이 분석." 교육혁신연구, 34.4(2024): 231-2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