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술과 유아예술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은유 분석

이용수 11

영문명
Metaphor Analysi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Art and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이은정 안세정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34권 제4호, 331~35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은유 분석을 통해 그들이 인식하는 예술과 유아예술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신념을 확인하고 성찰하기 위함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P광역시와 K도의 예비유아교사 150명을 임의 표집하여 은유 분석법을 활용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분석 요건을 충족시킨 131개의 설문지를 은유 분석 단계를 적용하여 범주화하고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예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은유 분석의 범주는 ‘사전적 의미의 예술’, ‘본능으로서의 예술’, ‘일상으로서의 예술’, ‘어렵지만 도전하는 예술’로 하위내용은 총 8개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예술교육에 대한 은유 분석의 범주는 ‘배움의 기초가 되는 유아예술교육’, ‘미래 역량을 키워가는 유아예술교육’, ‘유아와 교사를 이어주는 유아예술교육’으로 하위내용은 총 7개로 정리해 볼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들의 예술과 유아예술교육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예술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art and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that they perceive through metaphor analysi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confirm and reflect on their beliefs. Method: To this end, 15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P Metropolitan City and K province were randomly sampled and a questionnaires using metaphor analysis were distributed. 131 questionnaires that met the analysis requirements were categorized by applying a metaphor analysis step and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Results: First of all, the categories of metaphor analysi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art were “art in dictionary meaning”, “art as an instinct”, “art as a daily life”, “art as challenging but worth pursuing” with a total of eight sub-contents. In addition, the categories of metaphor analysis for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were “art education as the foundation of learning,” “art education as a means to foster future competencies,” and “art education as a bridge connecting children and teachers,” comprising seven subcategories in tota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data to establish a belief system in art and art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art and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art education targeted 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이벤트
  • 단말기_4월_북꽃축제(우측윙)
  • [윙하단] 열린책들 세계문학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