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극치료로 보는 심리 도식 양상 고찰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f Psychological Schemata from the Perspective of Drama Therapy
- 발행기관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 저자명
- 이혜민
- 간행물 정보
- 『연극예술치료연구』제21호, 42~66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심리 도식에 연극치료를 어떻게 적용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제프리 영(Jeffrey Young)이 제안한 심리 도식 치료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고, 초기 부적응 도식의 다섯 가지 영역 중 ‘단절과 거절’ 영역에 속하는 참여자 A의 사례를 통해 연극치료 작업에서 심리 도식이 어떻게 수정되고 재구성되는지 살펴보았다.
영(Young)에 의하면 유년기 정서적 외상 경험에 따라 형성되는 심리 도식은 삶을 살아가는 데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A 또한 초기 부적응 도식으로 인해 낮은 자존감, 자신과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신념 등 다양한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이것이 현재 또래 관계에서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심리 도식은 새로운 상황과 사건에 빠르게 대처하여 적응적으로 기능하기도 하지만, 고정화되고 패턴화된 도식은 이를 유지하고 영속화하려는 속성 때문에 부적응적인 방식으로 고착되기도 한다. 이에 역기능적으로 작동하는 심리 도식을 수정하여, 더욱 적절한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연극치료는 몸의 감각을 통해 새롭고 낯선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한 내적 역동은 고정된 이미지를 창조적으로 확장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발견하게 해준다. 또한 기존 구조의 파괴로부터 새로운 의미를 찾고 개인의 패턴화된 심리 도식과 이를 작동하게 하는 핵심 욕구를 인지하여,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 다른 것으로 변형함으로써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에 참여자 A는 자유로운 놀이 안에서 몸의 접촉을 통해 신체 감각을 활성화하고 새로운 역할 경험을 함으로써 고착된 삶의 패턴에서 벗어나 경험을 확장할 수 있었다. 또한 극적 세계 안에서 억압된 감정 및 욕구를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부정적 신념을 알아차리고 새로운 이미지로 변화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극치료의 다양한 접근법을 통해 심리 도식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 사례를 통해 증명함으로써 연극치료의 효과성을 확인하였고, 또한 그 결과 심리 도식의 새로운 형성 및 재구성까지도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drama therapy can be applied and changed to psychological schema. To this end, we first briefly looked at the psychological schema therapy proposed by Jeffrey Young, and examined how psychological schemas are modified and reconstructed in drama therapy work through the case of participant A, who belongs to the ‘disconnection and rejection’ area among the five areas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According to Young, psychological schemas formed based on emotional traumatic experiences in childhoo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living life. A also suffered from various psychological difficulties such as low self-esteem and negative beliefs about himself and others due to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this continued to affect his current peer relationships.
Psychological schemas may function adaptively by quickly responding to new situations and events, but fixed and patterned schemas may become entrenched in a maladaptive manner due to their tendency to maintain and perpetuate them.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modify dysfunctional psychological schemas and reorganize them to function in a more appropriate manner.
Drama therapy enables new and unfamiliar connections through the senses of the body. The internal dynamism through this creatively expands fixed images and allows the discovery of new images. In addition, by finding new meanings from the destruction of existing structures and recognizing the individual's patterned psychological schema and the core desires that operate them, it suggests a new direction by breaking away from the fixed framework and transforming it into something else. Accordingly, Participant A was able to break away from fixed life patterns and expand his/her experience by activating his/her physical senses through body contact and experiencing new roles during free play. Additionally, by expressing suppressed emotions and desires within the dramatic world, one was able to recognize one's negative beliefs and change them into a new image.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drama therapy by proving through cases how psychological schemas can be changed through various approaches of drama therapy,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new formation and reconstruction of psychological schemas are possible.
목차
Ⅰ. 서론
II. 본론
1. 심리 도식으로 본 정서-욕구의 작동방식
2. 연극치료 기법으로 본 심리 도식
3. 연극치료 작업의 실제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연극치료 즉흥극에서 치료사의 개입과 역동 분석 -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를 중심으로
- 연극치료로 보는 심리 도식 양상 고찰
- 치유연극 경험이 연극치료사에게 미치는 영향 -치유연극 <트로이 맨숀>의 역할 구축 과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