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극치료 즉흥극에서 치료사의 개입과 역동 분석 -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Intervention and Dynamic Analysis of the Therapist in Drama Therapy through Improvisation - Focusing on the Story of
- 발행기관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 저자명
- 현미자
- 간행물 정보
- 『연극예술치료연구』제21호, 1~41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의 분석과 활용이 실제 연극치료 사례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즉흥극에서 치료사가 어떻게 개입하는지, 그로 인해 어떤 역동이 발생하는지 자세히 분석함으로써 참여자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에서 하늘과 땅이라는 전혀 다른 배경을 가진 이질적 존재인 나무꾼과 선녀의 결합은 ‘사슴의 보은’으로 이루어지며 방법은 ‘날개옷 감추기’이다. 선녀를 서사적 주체로 바라보면 선녀의 관심은 나무꾼이 아니라 날개옷을 되찾는 것이다.
첫 번째 즉흥극 사례는 일대일 사례로 극 중에서 참여자 A가 선택한 ‘화난 선녀’를 고려하여 치료사는 ‘두려운 나무꾼’으로 즉흥극에서 배우로 직접 개입하였다. 부부 말다툼으로 인한 단순 가출로 아내의 상실을 부인했던 A는 즉흥극을 통해 자신의 폭력 가해를 고백하고 잘못을 인정했으며 아내의 상실을 수용했다.
두 번째 즉흥극 사례는 부부 사례로 부부가 선녀와 나무꾼이 되어 즉흥극을 진행하였고 치료사는 연출로 개입하였다. 선녀탕과 집까지의 거리를 확인하고 무대공간을 설정하여 극적 배경을 명확히 함으로써 나무꾼의 선녀탕과 집까지 반복된 왕복 행동이 의미하는 바를 생각하도록 하였다. 그로 인해 선녀는 압축된 결혼 과정을 돌아보고 ‘불만 많은’ 선녀라는 자기비난에서 벗어나 스스로 자신의 우울을 설명할 근거를 찾았다.
두 사례는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 중 비슷한 부분을 뼈대로 사용하여 즉흥극으로 진행되었다. 즉흥극은 참여자 차이에 따라 다르게 진행되었으며 그 차이에 적합한 치료사 개입으로 참여자의 고정된 관념이나 기존 관계 패턴을 벗어날 수 있었다. 연극치료에서 참여자의 극 중 역할 입기는 다른 사람이 되어보는 경험, 또 다른 나와 마주치는 경험인 동시에 낯선 타자인 치료사와의 관계 맺음으로 기존 정체성에서 벗어나 새로운 ‘되기’의 경험이다.
언어를 포함한 몸을 통한 즉흥극에서 치료사는 참여자의 언어뿐만 아니라 몸짓, 인상, 태도, 이미지, 침묵, 공간과 시간이 어떻게 극 속에서 변형되는지 과정으로써 진단하고 언제든 새로운 정보가 들어오면 기존의 진단을 수정해 나가야 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participant change by analyzing in detail how the analysis and use of the story of "The Fairy and the Woodman" is performed in actual theater therapy cases, how the therapist intervenes in improvisation, and what dynamics arise. In the story, the combination of the woodcutter and the fairy, who are heterogeneous beings with completely different backgrounds of heaven and earth, is made up of 'deer's reward', and the method is 'hiding the wing clothes'. Regarding the fairy as a narrative subject, the fairy's interest is not to the woodcutter, but to regain the wing clothes.
The first case of improvisation involves a one-on-one scenario, where the therapist intervenes directly as an actor portraying the fearful woodcutter, considering the angry fairy chosen by Participant A in the play. A, who had initially denied his wife's departure as a simple runaway caused by a marital argument, confessed his violence, admitted his wrongdoing, and accepted his wife's loss through the improvisation. The second case of improvisation involves a couple, who take on the roles of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In this case, the therapist intervenes as a director. By asses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airy pond and the house, setting a stage space, and clarifying the dramatic background, the meaning of the repeated round trips to the house and the fairy’s journey was explored. As a result, the fairy reflected on her compressed marriage process, overcame her self-criticism as dissatisfied fairies, and found a foundation to explain her depression.
Both cases used a similar part of the story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as a framework for improvisation. The improvisation was conducted differently based on the participants' differences, and the therapist’s intervention, tailored to these differences, allowed the participants to break free from fixed notions or established relationship patterns. In theater therapy, a participant's role in the play is an experience of becoming someone else, encountering another person, and at the same time, experiencing a new "being" apart from their existing identity, by 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a therapist who is an unfamiliar figure.
Through improvisation using both body and language, the therapist observed how the participant's language—along with gestures, expressions, attitudes, images, silence, space, and time—transformed within the play. This allowed the therapist to adjust existing diagnoses whenever new information emerged.
목차
Ⅰ. 서론
II. 본론
1.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 분석과 활용
2. 즉흥극이 지니는 치료적 의의
2-1) 참여자 관점에서 즉흥극이 지니는 치료적 의의
2-2) 즉흥극에서 과정으로써의 진단
3. 즉흥극에서 나타난 치료사의 개입과 역동 분석
3-1) 개인 사례에서 치료사 개입과 역동
3-2) 부부 사례에서 치료사 개입과 역동
3-3) 두 사례에서 나타난 자기 인식 변화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연극치료 즉흥극에서 치료사의 개입과 역동 분석 - <선녀와 나무꾼> 이야기를 중심으로
- 연극치료로 보는 심리 도식 양상 고찰
- 치유연극 경험이 연극치료사에게 미치는 영향 -치유연극 <트로이 맨숀>의 역할 구축 과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