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퇴계 이황 〈심학도心學圖〉의 도설 계보와 후대 전승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중국문화학회
저자명
김세종
간행물 정보
『중국학논총』제84호, 379~415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conographic genealogy of YiHwang's 〈Simhakdo〉, and to examine the production trend and transmission of 〈Simhakdo〉 produc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fter YiHwang. To this end, this paper raises two issues. First, what are the paintings and texts of JeongBoksim as the origin of YiHwang's 〈Simhakdo〉, and what are the iconographies produced before YiHwang in relation to 〈Simhakdo〉? Second, in what form was YiHwang's 〈Simhakdo〉 produced after YiHwang? According to these issues,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A. YiHwang's 〈Simhakdo〉 almost directly quotes JeongBoksim's paintings and texts and faithfully inherits the tradition of Neo-Confucianism. B. After the creation of the iconography by JeongBoksim, the same iconography was also included in JeongMinjeong's 《Simgyeongbuju》, and the name 〈Simhakdo〉 was used in earnest in this literature. C. The 〈Cheoninsimseonghapiljido〉 in the 《Iphakdoseol》 written by GwonGeun of Joseon differs in form from that of JeongBoksim, but it arranges the Sim心 and Gyeong敬 in an upper and lower order, and it seems to reflect the core content described by JeongBok-sim. D. ​A total of seven 〈Simhakdo〉s were created after YiHwang. In chronological order, they are 〈Simhakjongbangdo〉 by JoIk in the early 16th century, 〈Simhakdo〉 by HeoMok in the early 17th century, 〈Simhakdo〉 by ParkJangwon in the mid-17th century, 〈GanjeongImEunJeongsiSimhakdo〉 by ParkSe-chae in the late 17th century, 〈SeoncheonSimhakjido〉 by HanYeoyu in the late 17th century, 〈Simhakdo〉 by YunDaesun in the early to mid-18th century, and 〈Simhakdo〉 by SoHwimyeon in the mid-19th century. E. The seven types of 〈Simhakdo〉 produced after YiHwang are often different from the form of YiHwang's 〈Simhakdo〉, and this is thought to be because it is difficult to theoretically structure 〈Simhakdo〉 due to its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the reality of self-cultivation.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퇴계 〈심학도〉의 특징과 계보
1) 퇴계의 〈심학도〉
2) 〈심학도〉 구성요소의 배치 이유
3) 퇴계 〈심학도〉의 계보
Ⅲ. 퇴계 〈심학도〉의 전승
1) 조익. 〈심학종방도〉
2) 허목. 〈심학도〉, 〈요순우전수심법도〉
3) 박장원. 〈심학도〉
4) 박세채. 〈간정임은정씨심학도〉
5) 한여유. 〈선천심학지도〉
6) 윤대순. 〈심학도〉
7) 소휘면. 〈심학도〉
Ⅳ. 결 론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세종. (2024).퇴계 이황 〈심학도心學圖〉의 도설 계보와 후대 전승에 관한 연구. 중국학논총, (), 379-415

MLA

김세종. "퇴계 이황 〈심학도心學圖〉의 도설 계보와 후대 전승에 관한 연구." 중국학논총, (2024): 379-4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