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Z세대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운동몰입과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이용수 30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Exercise Involvement and Learn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of the MZ Generation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저자명
- 신형철 조수희
- 간행물 정보
- 『교육학연구』제62권 제7호, 1~3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MZ세대 대학생들의 운동에 대한 비중 증가 현상에 착안하여 그들의 발휘하는 자존적인 셀프리더십이 미치는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운동몰입과 학습몰입의 어떤 매개효 과를 갖는지 그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대전과 서울에 거주하는 대학생들 312명(남자=168명, 여자=144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셀프리더십과 운동몰입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생들의 셀프리더십은 운동몰입과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운동몰입은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학습몰입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운동몰입과 학습몰입의 각각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운동몰입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운동몰입 및 학습몰입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운동몰입과 학습몰입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셀프리더십, 운동몰입, 및 학습몰입이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셀프리더십이 운동몰입과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지만, 운동몰입이 학습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또한, 셀프리더십이 학습몰입을 매개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운동몰입을 매개로 한 경우에는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mediating effects of exercise involvement and learning flow on the impact of self-leadership on self-efficacy improvement among Generation MZ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phenomenon of increased emphasis on exercise. The study participants were 312 college students (168 males, 144 females) residing in Daejeon and Seou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elf-leadership and exercise involve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self-efficacy. Second, students’ self-leadership significantly influenced exercise involvement and learning flow. Third, exercise involvemen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flow. Fourth, learning flow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Fifth, when examining the individual mediating effects of exercise involvement and learn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the mediating effect of exercise involvement was not significant, but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ixth, when examining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exercise involvement and learn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the mediating effects of exercise involvement and learning flow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students’ self-leadership, exercise involvement, and learning flow had significant effects on self-efficacy, and that self-leadership influenced exercise involvement and learning flow. However, exercise involvement did not directly influence learning flow. Additionally, the results suggest tha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there was an influence through the process of learning flow, but self-leadership did not influence self-efficacy through the process of exercise involvemen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