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부모 교육열의 종단적 변화 유형 탐색
이용수 171
- 영문명
- An Exploration of Longitudinal Changes in Parental Educational Enthusiasm
- 발행기관
- 한국학부모학회
- 저자명
- 이승현 김무영 엄문영
- 간행물 정보
- 『학부모연구』제11권 제4호, 53~7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부모의 교육열 변화 유형을 분류하고, 각 집단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 차원의 예측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KELS 2013) 3차년도부터 8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1부터 고3까지 거쳐온 학생의 학부모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성장혼합모형을 활용하여 학부모의 교육기대와 사교육비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열 변화 양상과 관련하여 학부모의 다양한 하위집단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육기대 변화 유형으로는 낮은 교육기대 유지 집단, 교육기대 감소 집단, 높은 교육기대 유지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사교육비 유형으로는 사교육비 상승 집단, 중간 사교육비 유지 집단, 높은 사교육비 유지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교육열 집단에 대한 예측요인으로는 학생의 성별, 중학교 1학년 시기의 학업 성적, 부모의 학력 및 직업 특성, 월평균 소득이 도출되었다. 교육기대 변화 유형은 학생 성별, 중학교 1학년 시점의 국어, 수학 성적, 부모의 학력, 부의 직업 특성, 월평균 소득이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사교육비 변화 유형은 중학교 1학년 시기 국어, 수학, 영어 성적, 부모의 직업 특성, 월평균 소득이 예측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육 다양화 및 대학원 교육 전문화 등의 고등교육 정책, 공교육 내 다양한 교육 서비스 확대,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학부모교육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the patterns of change in parents' educational enthusiasm and explore student- and parent-level predictors for each group.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3rd to 8th waves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KELS 2013)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parents of students who transitioned from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Using Growth Mixture Modeling(GMM), changes in parents' educational expectations and shadow education expenditures were examined. First, distinct subgroups of parents were identified in terms of educational enthusiasm. Changes in educational expectations were categorized into low expectation maintenance group, decreasing expectation group, and high expectation maintenance group, while changes in shadow education expenditures were classified as increasing expenditure group, medium expenditure maintenance group, and high expenditure maintenance group. Second, the predictors of educational enthusiasm included student gender, academic performance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parental education,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average monthly incom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recommends higher education policies that consider parental demands, the expansion of various public education services, and educational programs targeted at parents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목차
Ⅰ.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