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국 학부모정책의 동향 및 시사점: 학부모 참여 활성화 및 책무성 강화를 위한 학부모정책

이용수 63

영문명
Recent Trends and Implications of UK Parent Involvement Policies: Promoting Parental Engagement and Strengthening Accountability
발행기관
한국학부모학회
저자명
김은영 박새롬 임선영
간행물 정보
『학부모연구』제11권 제4호, 1~2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09년 우리나라 학부모정책 수립에 근간이 되었던 영국의 학부모정책 동향을 분석하여 2024년 새롭게 출발한 학부모정책의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학부모정책 문건, 논문, 보고서, 관련 기관 홈페이지 및 법령 등 폭넓은 문헌자료 분석을 수행하고, 영국 학부모정책의 동향을 정책목표 및 추진방향, 주요 내용, 학부모 참여 조직, 정책 실현 기반의 네 가지 영역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영국은 학부모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한 교육의 질 향상을 강조하여 학부모 권한 확대와 참여를 장려하였으나 최근에는 학부모 책무성 강화 논의가 있다. 둘째, 영국의 학부모 학교참여는 가정-학교 협의서에 기반하여 학교, 학생, 학부모 3주체의 책임을 강조하며, 학부모 인식조사를 통해 학부모 의견을 수렴한다. 셋째, 영국의 학교운영위원회는 의결기구로 주요 의사결정에 관여하며, 학부모협의회는 학부모 의견을 수렴하여 학교와 학부모 간 원활한 소통을 도모한다. 학부모-교사회(PTA)는 자발적 학부모 참여 조직으로 학부모의 참여를 권장한다. 넷째, 영국의 학부모정책은 체계적 법적 근거를 통해 학부모의 역할, 권한, 책임 등을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생교육에 대한 학교와 학부모의 책임과 권리 인식 향상 및 협력 문화 조성을 위하여 「학생교육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 협력법」 제정 및 ‘학교-학부모 협약’ 제도 도입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위한 학부모정책 내실화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recent trends in UK parent involvement policies to draw implications for parent policies in South Korea.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revealed four key areas. First, while the UK has long encouraged parental involvement, recent discussions have increasingly centered on strengthening parental accountability. Second, the UK emphasizes the shared responsibilities of schools, students, and parents, as outlined in family-school agreements. Third, the UK's School Governing Bodies act as major decision-making bodies, while parent councils facilitate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schools and parents, and PTAs encourage active voluntary parental participation. Finally, the UK’s parent policies clearly define the roles, powers, and responsibilities of parents through systematic legal framework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enacting 「The Family and School Partnerships for Student Education Act」 and introducing the School-Parent Agreement system in Korea.

목차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영,박새롬,임선영. (2024).영국 학부모정책의 동향 및 시사점: 학부모 참여 활성화 및 책무성 강화를 위한 학부모정책. 학부모연구, 11 (4), 1-23

MLA

김은영,박새롬,임선영. "영국 학부모정책의 동향 및 시사점: 학부모 참여 활성화 및 책무성 강화를 위한 학부모정책." 학부모연구, 11.4(2024): 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