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 연구
이용수 28
- 영문명
- Legislative Improvements towards promoting physic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저자명
- 장민영
- 간행물 정보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제27권 제3호, 135~15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생의 체육활동 강화 등의 입법 목적을 가지고 「학교체육 진흥법」이 제정 및 시행된 지 10여 년이 흘렀다. 학교체육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과연 동법이 이러한 관심에 제대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가지고 있는지는 의문이 아닐 수 없다. 학교체육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입법적 개선이 요청된다. 첫째 , 학교체육에 관한 양적 기준, 측 시수는 학교체육에 관한 득벌법에 해당하는 「학교체육 진흥법」에서 명문으로 규율함으로써 규범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교체육이 아니고서는 학생들의 신체활동 기회를 담보할 수 없는 우리의 특성을 감안하여 학교체육의 시수를 외국의 기준과 상응하게 또는 그 이상으로 증대하는 것이 요청된다. 둘째, 학교체육 내실화 관련 규정들의 경우 단순히 의무를 확인하는 수준에서 머물 것이 아니라 해당 의무를 충실하게 준수할 수 있도록 세부적인 기준들을 하위법령 등을 통해 마련할 필요가 있다. 법령에서 정한 각종 사항들이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 점검하기 위하여 사전적으로 학교체육 현황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가 실시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하는 한편, 이를 토대로 하여 이행 실태를 점검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는 시정 또는 개선 명령을 할 수 있도록 규율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여학생 및 장애학생의 학교체육에 대한 수요가 일률적이지 않다는 특성 등을 감안하여 구체적인 방안은 자율에 맡기되 이행점검 및 제재수단을 마련하는 방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행점검의 경우 자체평가 등을 통해 자체적으로 마련하여 운영하도록 하는 한편, 외부 전문기관 등에 의해 점검하고 법령에서 정한 의무 이행에 충분하지 않은 경우 개선 명령 등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영문 초록
More than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ct was enacted and entered into force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physical activities. Social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is gradually increasing, but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law can effectively respond to this interest. In order for school sports to become more active, the Act should be revised as follows. First, the quantitative standards on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clearly articulated at the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ct. Also, taking into account the social circumstance of not being able to guarantee physical activity opportunities for students without physical education, it is necessary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school sports sessions. Second, in the case of regulation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etailed standards through subordinate laws and regulations to ensure faithful compliance with the obligations, rather than simply confmning the obligations. In order to check whether various matters stipulated in the law are being properly implemented, a legal basis is established so that a detai led inspections on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sports can be conducted in advance, and based on this, the implementation status is checked and any shortcomings are ordered to be corrected or improved.
Third, taking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 demand for school physical education among female student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not unifonn, it is necessary to leave specific measures to the autonomy, but to prepare a method to check implementation and provide sanctions. In the case of monitoring, it would be appropriate to prepare and operate it in-house through self-evaluation, etc., while inspecting it by an external special i쩍 agency, etc. and imposing an order for improvement if it is not sufficient to fulfi ll the obligations stipulated in the law.
목차
I . 서 설
II. 학교체육의 양적 기준 증대 및 규범화 강화
Ill. 학교체육의 내실화 제고
IV. 여학생 및 장애학생의 학교체육 증진
V. 결 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