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확대 가능 장애범주 선정 및 잠재적 고용서비스 대상자를 위한 직업재활의 과제
이용수 5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Selection of Expandable Disability Categories and Implication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otential Employment Service Recipients
- 발행기관
- 한국직업재활학회
- 저자명
- 최국환(Choi, Gughwan)
- 간행물 정보
- 『직업재활연구』제34권 제2호, 77~9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확대 가능 장애범주를 선정하고, 선정된 장애범주에 해당하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기초자료 및 개별욕구 조사를 진행한 후, 이를 토대로 정책적 제안과 시사점을 논의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 연구에는 총 54명의 현장 전문가와 총 292명의 확대 가능 장애범주에 속해 있는 장애인이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였다. 문항별 빈도분석, 기술통계, ANOVA 및 사후 검증을 위하여 SPSS 23.0 프로그램이 통계분석에 활용되었다. FGI를 진행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과 현장 전문가에게 확대 가능 장애범주를 탐색하기 위한 온라인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최종 선정된 장애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화상 면접의 형태로 기초자료와 개별욕구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확대 가능 장애범주로 ADHD, 경계선급 지적장애, 강박 장애, CRPS 및 PTSD 및 소뇌위축증을 포함, 총 6개의 장애범주가 우선순위를 토대로 최종 선정되었다. 선정된 장애인을 대상으로 기초자료와 개별욕구 조사한 결과, 취업 여부, 직종 선택의 제한 정도, 고용서비스의 필요도, 만족도 등의 지표에서 장애범주별 우선순위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 이는 장애범주의 특성을 고려하여 차별적 직업재활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해 주었다. 잠재적 장애인 고용서비스 수혜 대상자를 위한 정책적 제안 및 직업재활 분야의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expandable disability categories based on the survey of rehabilitation professional group along with the collection of the basic data and individual needs of potential recipients of employment services, which are geared to generate policy proposals and implication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A total of 54 field experts and a total of 292 persons with selected disability categor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tem to item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Post-hoc comparisons were conducted by utilizing the SPSS 23.0 program. An online survey for the selection of expandable disability categories was conducted targeting the FGI groups and the field experts, and an individual desire survey including a basic data collection among those disability groups was distributed to the finally selected disability group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ix expandable disability categories were illustrated in priority order including ADHD, Borderline Intellectual Disorde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CRPS, PTSD and Cerebellar Atrophy. The study results based on the individual need survey including a basic data collection showed a hierarchical difference in indicators such as employment status, degree of limitation in vocational choice, necessity of employment services, satisfaction index of the involved employment services, etc., suggesting the need of utilizing differential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disability categories. Policy proposals and implications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otential employment service recipient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키워드 분석을 통해 살펴본 직업재활 용어의 출현 양상 변화: 코로나 팬데믹 시기를 전후로 작성된 언론 기사를 대상으로
- 교육청 장애인교원 고용률 제고를 위한 현황분석 및 인식연구
- 확대 가능 장애범주 선정 및 잠재적 고용서비스 대상자를 위한 직업재활의 과제
- 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직업능력에 대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중증장애인생산품과 일반제품에 대한 소비자 반응 및 구매결정요인 분석: 제품유형, 장애인생산품에 대한 인식, 이타성을 중심으로
-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근로장애인의 최저임금적용제외제도 성과 요인과 개선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제조물책임 성립요건으로서의 ‘결함’의 의미와주장 · 증명책임 분배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Journal of Asia Social Science Vol.11 No.3 Contents
- Strengthening the Protection of Buddhist Culture in Bhutan
- The Demand and Cultivation of International Talents Amidst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ticipating the Upcoming Decad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