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 문화의 비판적 분석 능력 함양을 위한 실행 연구: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시각적 소통 역량 개념을 기반으로
이용수 119
- 영문명
- An Action Research on Enhancing Critical Analysis Ability in Visual Culture: Based on the Concept of Visual Communication Competency in the 2022 Art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하영유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91집, 297~32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0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시각적 소통 역량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사범대학 미술교육 전공 학부생들이 시각 문화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신설된 전공 선택 강의를 중심으로 실행되었다. 시각적 소통 역량을 함양하는 교육을 위한 필수 이론을 찾아 탐구하고 개인과 그룹별 창작과 비평 작업에 적용하는 이론과 실기 복합 수업 실행을 바탕으로 진행된 본 연구는, 미술교육 전공 학생들 자신의 역량 함양만이 아니라 향후 교사로서 가르치게 될 학생들의 시각적 소통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의 필요 요소를 제안한다. 첫째, 시각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자 스스로 시각적 문해력과 은유적 사고를 이론적으로 탐구하고 재개념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주요 개념들이 비판적 해석과 창작 작업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주요 개념들을 체화하는 체계적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ncept of visual communication competency as proposed in the 2022 revised Art Education curriculum, focusing on a newly introduced elective course for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education at the teachers' college. The aim of this course is to develop students' abilities to crit-ically perceive and communicate within visual culture. By investigating essential theories for fostering visual communication skills and applying them to individual and group creative and critical activities, this research not only enhances the students' own competencies but also suggests necessary elements for educating future students as prospective teachers. First, there is a need for learners to reconceptualize visual literacy and metaphorical thinking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visual culture. Secondly, a systematic curriculum that embodies critical interpretation and creative work within students is required.
목차
I. 서론
Ⅱ.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시각적 소통 역량
Ⅲ. 현대 시각 문화와 시각적 소통: 수업을 위한 개념과 이론
Ⅳ. 시각 문화 이론과 창작 교육을 통한 시각적 소통 역량 함양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상현실 미술치료의 치료적 요인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미적 체험 교육에서 미적판단 : Levinson의 절충적 실재론을 중심으로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반한 2022 개정 초등 미술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분석 연구: 공통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 비교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생태전환적 가치와 실천에 관한 연구
- ‘인류애:그래픽디자이너와 함께 그리다’ 그래픽디자인 전시의 팬데믹 동안 성찰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민주시민교육의 관계 탐색
- 미술에서의 상상력에 대한 고찰: 상상력에 대한 인식과 미술과 교육과정 관련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포용성 경험을 위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미술 감상 교육 프로그램 연구
- 미술관 전시 공간과 감상자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필립 파레노의 <보이스> 전을 중심으로
- 들뢰즈의 의미론이 주는 미술비평 교육에의 시사점
- 늘봄학교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사례
- 학교 공동체 문화 형성을 위한 미술 표현 결과의 공유와 소통 방안
- 시각 문화의 비판적 분석 능력 함양을 위한 실행 연구: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시각적 소통 역량 개념을 기반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