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늘봄학교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사례
이용수 125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rt Therapy Programs at Neulbom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이유경 한경아 박나현 이홍조 이현주 정주연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91집, 227~25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0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A대학 늘봄학교사업단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사례를 살펴보고, 추후 늘봄학교에서의 심리·사회·정서 지원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김창대 외(2022)의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A대학 늘봄학교사업단의 3종 교육모듈, 표현치료연속체(ETC)이론,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총 3회기의 프로그램 4종을 개발하였으며, 사이코사이버네틱(PMAT) 4단계에 맞춰 구조화하였다. 프로그램은 2022년 12월 20일부터 2023년 2월 27일까지 경기·인천 12개교에서 운영되었으며, 현장의 특성을 반영하여 수정 및 보완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기반으로 늘봄학교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현장에서 운영하는 데 있어 갖추어야 하는 프로그램의 질적인 측면, 강사의 전문성, 학교 현장과의 소통 및 협력, 환경적 측면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evelopment case of the art therapy program by the Neulbom School Project Group at A University and propose directions for future art therapy programs to support psycho-logical, social, and emotional well-being in Neulbom School. Following th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proposed by Kim Changdae et al. (2022), four types of three-session progra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three educational modules of A University's Neulbom School Project, the Expressive Therapies Continuum (ETC) theory, and previous research. These programs were structured according to the four stages of the Psycho-Cybernetic Model of Art Therapy (PMAT). The developed programs were implemented in 12 schools in the Gyeonggi and Incheon regions from December 20, 2022, to February 27, 2023, with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setting. Based on this, the discussion focused on the qualitative aspects of the Neulbom School art therapy program, the in-structors’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ith the school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factors necessary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늘봄학교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사례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상현실 미술치료의 치료적 요인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미적 체험 교육에서 미적판단 : Levinson의 절충적 실재론을 중심으로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반한 2022 개정 초등 미술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분석 연구: 공통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 비교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생태전환적 가치와 실천에 관한 연구
- ‘인류애:그래픽디자이너와 함께 그리다’ 그래픽디자인 전시의 팬데믹 동안 성찰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민주시민교육의 관계 탐색
- 미술에서의 상상력에 대한 고찰: 상상력에 대한 인식과 미술과 교육과정 관련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포용성 경험을 위한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미술 감상 교육 프로그램 연구
- 미술관 전시 공간과 감상자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필립 파레노의 <보이스> 전을 중심으로
- 들뢰즈의 의미론이 주는 미술비평 교육에의 시사점
- 늘봄학교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사례
- 학교 공동체 문화 형성을 위한 미술 표현 결과의 공유와 소통 방안
- 시각 문화의 비판적 분석 능력 함양을 위한 실행 연구: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시각적 소통 역량 개념을 기반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학예사의 문화 향유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이론을 중심으로
-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을 위한 미술과 수업 프로그램 개발
-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미술과 서술형·논술형 평가의 교육적 의의 및 적용 방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