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 코스웨어의 초등 미술과 적용 방향 탐색
이용수 74
- 영문명
- A Study on the Application Direction of AI Courseware in Elementary Art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송명길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연구논총』제78집, 83~10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디지털 대 전환의 시대를 맞아 다양한 디지털 에듀테크 및 인공지능 기술을 교육에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뜨겁다. 미술과 역시 교과목으로서 AI 코스웨어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이며 이와 관련한 연구를 바탕으로 미술과에 알맞게 AI 코스웨어를 적용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I 코스웨어를 타 교과에 적용해 본 교사들을 인터뷰하여 미술과 적용 방안에 대한 의견을 듣고 적용 방향을 모색하였다. 분석 결과는 크게 ‘현 AI 코스웨어 보완점’, ‘미술의 본질을 지키는 도구’, ‘미술과 AI 코스웨어에 필요한 기능’, ‘AI 코스웨어의 윤리적 쟁점들’으로 종합하였으며 세부적으로 미술과 AI 코스웨어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초등 미술과에서는 AI 코스웨어를 도입하더라도 재료가 갖는 물성을 손으로 느끼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코스웨어의 기능적 사용의 편리성 뿐만아니라 미술 학습을 돕는 각종 기능들이 필요하며, 작품 큐레이션, 디지털 아뜰리에, 협업 툴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아울러 각종 저작권 문제 등에 대한 해결과 윤리적 고민, 디지털 환경에서의 미적 체험에 대한 실제적 연구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단단한 철학적 논의 위에 기술이 갖추어지고 실행될 때 진정한 의미에서 AI 코스웨어가 미술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context of the digital transformation era, there is an active discourse regarding the strategies for utilizing various digital educational technologi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education. The integration of AI courseware into art education is becoming an indispensable necessity. Consequently, it is essential to implement AI courseware that is specifically tailored for the art curriculum, based on pertinent research. To achieve this, this study involved interviewing educators who have applied AI courseware in other subject areas to gather their insights on potential applications with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The analysis of these interviews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four primary categories: 'Current Limitations of AI Courseware,' 'Tools for Preserving the Essence of Art,' 'Necessary Features for Art Education AI Courseware,' and 'Ethical Issues Associated with AI Courseware.' Based on these findings, specific recommendations for the integration of AI courseware in art education were proposed. In elementary art education, it is crucial that, even with the introduction of AI courseware, the tactile experience of engaging with the physical properties of materials remains a priority. For effective classroom integration, it is necessary to ensure not only the convenience of functional use of the courseware but also the inclusion of various features that facilitate art learning, such as artwork curation, digital ateliers, and collaborative tools. Furthermore, it is imperative to address copyright issues, engage in ethical considerations, and conduct empirical research on aesthetic experiences within digital environments. Ultimately, the genuine application of AI courseware in art education can only be realized when it is underpinned by rigorous philosophical discourse and effectively executed in practice.
목차
Ⅰ. 서 론
Ⅱ. AI 코스웨어의 개념과 활용
Ⅲ.연구 방법
Ⅳ. 분석 및 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지털 시대 미술교육의 가치 성찰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정체성 역량 함양을 위한 디지털 매체 활용 교수·학습 방안 연구
- 미적 체험과 창의적 발상을 매개하는 표현지도 방법 연구 -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을 중심으로 -
-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장소 정체성 함양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
- AI 코스웨어의 초등 미술과 적용 방향 탐색
- 디지털매체를 활용한 미술 수업에서 초등학생의 시각적 표현 경험 분석: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한 미술 아카이브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탐색
- 한 퇴직 미술 교사의 생애사 연구
- 차이와 반복의 미술에 대한 사례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