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소 정체성 함양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

이용수 21

영문명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Program for Fostering Place Identity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손유림 조호연 이혜지 이재예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78집, 23~5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소 정체성 함양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 문헌 검토를 통해 프로그램 설계 원리 및 9차시의 수업 커리큘럼을 개발하였으며, 서울 K구 지역에 거주하는 중학생 1학년 4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학생들은 ‘나의 역사가 담긴 그림 자서전’ 제작과 함께, ‘우리의 역사가 담긴 마을 자서전’을 주제로 지역 주민들과 소통할 수 있는 관객 참여형 작품을 기획하였으며, 개인 작품과 공동 작품 모두 5일간 K구청 관할 갤러리에 전시하였다. 수업의 효과성 분석을 위해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 및 전시 참여 경험에 대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2회 실시하였다. 또한, 수업 산출물, 개인 작품과 관객 참여형 작품에 드러난 장소 표현 방식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 및 관객들은 장소와 관련된 감정을 추상적으로 표현하는 것보다 인물, 사물 등의 사실적 표현을 통해 장소에 대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선호하였으며, 주변인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장소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객 참여형 작품을 통해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은 가족, 친구, 지역 주민들로 확장하였으며, 학생들은 나와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 변화를 체험하며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감을 형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핵심 요소인 ‘장소 정체성’에 주목하여 이를 함양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a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program for fostering place identity. Through a review of the previous literature, principles for program design and a nine-session curriculum were developed. The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four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the K district of Seoul. The students created ‘Autobiographies in Art’ reflecting their personal histories and planned audience-participatory artworks under the theme ‘Community Autobiography’ to communicate with local residents. Both individual and collective works were exhibited for five days at a gallery managed by the K district office.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with participating students regarding their experiences in the classes and exhibition. Additionally, the class outputs and the ways in which places were represented in both individual and audience-participatory artwork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both students and audiences preferred conveying information about places through realistic depictions of people and objects rather than abstract expression of emotions. They also tended to perceive places through interactions with surrounding people. The audience-participatory artworks expanded their awareness of the community to include family, friends, and local residents, and the students experienced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themselves and the community, leading to a stronger attachment to their commun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focuses on ‘place identity’, a core element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and develop a specific educational program to foster i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장소 정체성 함양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Ⅴ. 연구 결과
Ⅵ.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유림,조호연,이혜지,이재예. (2024).장소 정체성 함양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 23-50

MLA

손유림,조호연,이혜지,이재예. "장소 정체성 함양을 위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2024): 23-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