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종결어미 ‘-네’와 중국어 어기조사 ‘啊(a), 呢(ne)’의 대조연구
이용수 16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the Korean Sentence-final Ending ‘-ney(-네)’ and the Chinese Modal Particles ‘啊(a), 呢(ne)’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저자명
- 왕페이야오
- 간행물 정보
- 『우리말연구』제78집, 111~13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한국어 종결어미 ‘-네’에 대응하는 중국어 어기조사 ‘啊(a)’와 ‘呢(ne)’를 살피는 것이다. 중국어 어기조사 ‘啊(a)’는 화자의 감정을 표현하는 어기조사이며, ‘呢(ne)’는 화자가 말하는 내용, 즉 청자에게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주의하라는 뜻의 어기조사이다. 또한 본 연구는 증거성과 인칭의 상호작용 측면을 살펴보기 위해 평서문의 한국어 ‘-네’와 중국어 어기조사 ‘啊(a)’와 ‘呢(ne)’의 주어인칭 사용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first confirm that in declarative sentences, the Chinese modal particles ‘啊(a)’ and ‘呢(ne)’ correspond to the Korean ‘-ney(-네)’ with a distinction: ‘啊(a)’ expresses the speaker's emotions, while ‘呢(ne)’ indicates the speaker's content, meaning that the speaker wants the listener to pay attention to what is being said. Additionally, the current Korean ‘-ney(-네)’ is discussed within the categories of evidentiality and mirativity based on its semantic functions. This paper intends to discuss the evidentiality and mirativity of Korean sentence-final ending ‘-ney(-네)’ separately, and to reveal that the corresponding Chinese Modal Particles ‘啊(a)’ and ‘呢(ne)’ also fall within the categories of evidentiality and mirativity in declarative sentences. Evidentiality refers to the observation of information, which varies depending on the observer and is related to the deictic category of person. The Korean sentence-final ending ‘-ney(-네)’ generally has a first-person subject, whereas this study seeks to confirm that the Chinese ‘啊(a)’ and ‘呢(ne)’ are restricted by a second-person subject.
목차
1. 들어가기
2. 한국어 ‘-네’에 대한 논의
3. 중국어 어기조사 ‘啊(a)’와 ‘呢(ne)’
4. ‘-네’와 ‘啊(a), 呢(ne)’의 대조연구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쓰기 과제 수행에서 국내외 한국어 학습자의 온라인 도구 사용 현황 연구 -기계번역과 생성형 AI를 중심으로-
- 국외 한국어 학습자의 동기 및 탈동기 연구 -베트남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 『경상남도지』의 「방언」에 담긴 경남방언 연구
- 금연공익광고 ‘노담’시리즈에 대한 텍스트 언어학적 연구 -2020년 광고를 중심으로-
- 언어 접촉(Language Contact)의 관점에서 본 중국 조선어의 변이 양상
- 중등학교 읽기 영역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를 위한 현황과 과제
- 한국어 종결어미 ‘-네’와 중국어 어기조사 ‘啊(a), 呢(ne)’의 대조연구
- 한국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나타나는 교사의 명령하기 헤지 표현에 대한 연구 -한국어 고급 수업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이숭녕과 김수경의 통사론 비교 -『고등국어문법』(이숭녕, 1956)과 김수경의 『조선어 문법』(김수경, 1955)를 대상으로-
- 한·중 술어명사 구문 대조 연구
- 지역 연계형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수자 인식 조사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