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돌봄교실에서 초등보육전담사가 경험한 참여관찰기록에 대한 문화기술지
이용수 167
- 영문명
- Cultural description of participation observation records experienced by elementary childcare specialists in elementary care classes
- 발행기관
- 21세기사회복지학회
- 저자명
- 박현정 김연옥
- 간행물 정보
- 『21세기사회복지연구』제20권 제2호, 25~5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돌봄교실을 이용하는 구성원들의 일상을 통해 문화적 의의와 가치를 찾아서 사회적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돌봄교실은 시도교육청의 초등돌봄교실 운영계획에 의해서 각 학교의 상황에 맞게 교육목표와 경영방침을 기초로 보육 활동이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초등돌봄교실을 이용하는 아이들은 편안하고 즐거운 생활을 통해 사회적 기술과 정서적 안정을 체득하고 있었다. 셋째, 초등돌봄교실을 경험한 초등보육 전담사는 보편적 관점으로 통합보육을 실행하며 돌봄교실의 운영자로서 위상과 더불어 책임감도 높이는 성장의 기회로 간주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실천적 방안은 첫째, 초등보육 과정에 관한 지침서를 갖추고, 둘째, 특수아동 보육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이 요구된다. 셋째, 초등보육 전담사의 근로 기준을 통합하고, 교권과 자율성이 존중되도록 초등돌봄 교사로 명칭을 개편할 필요성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to find cultural significance and value through the daily lives of members using elementary care classes and to interpret its social meaning. A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data by applying the research method of the cultural technology magazin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care class was operated based on the school's educational goals and management policies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of each school according to the operation plan of the elementary care class of the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econd, children using elementary care classes were learning social skills and emotional stability through a comfortable and enjoyable life. Third, the elementary childcare specialist who experienced the elementary care class implemented integrated childcare from a universal perspective and regarded it as an opportunity for growth to increase his status as an operator of the care class and responsible for the care class. As a practical measure based on the results, First, guidelines for the elementary childcare process are provided, and second, detailed information on special child care is required. Third,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the labor standards of elementary childcare professionals and reorganize the name as elementary care teachers so that teaching rights and autonomy are respected.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