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좋은 교사’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탐색
이용수 137
- 영문명
- Explo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Good Teachers’ Using Text Mining
- 발행기관
- 한국실행연구학회
- 저자명
- 최수인 김종민
- 간행물 정보
- 『교육실행연구』제2권 제1호, 45~6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좋은 교사'에 대한 초등학생의 주관적인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1∼6학년 초등학생에게 어떤 교사를 ‘좋은 교사’라고 인식하고 있는지 묻는 개방형 문항을 제시하였고, 이에 응답한 392명의 학생의 서술 내용을 R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키워드 및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초등학생은 재미있게 수업하고 공부를 잘 가르치는 교사, 친절하고 화를 내지 않는 착한 교사, 공감하고 들어주고 마음과 기분을 알아주는 교사를 ‘좋은 교사’로 인식하였다. 둘째, 토픽 모델링 결과, ‘수업 기획 역량’, ‘학습 동기 촉진 역량’, ‘학생 이해 능력’, ‘학습 지도 및 촉진 역량’, ‘학생 감정 공감 역량’, ‘학교생활 지도역량’, ‘수업 실행 역량’, ‘문제 행동 이해 및 처지 역량’을 갖춘 교사를 ‘좋은 교사’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좋은 교사에 관한 학생의 인식을 성찰하고 학생의 발달과 성장을 위한 자료로 활
용되며, 학생이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학습의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bjective perceptions of ‘good teachers’ using text mining. To achieve this, we posed an open-ended question to students in grades 1-6 about their perceptions of 'good teachers' and applied text mining techniques using R to analyze the responses of 392 students. Our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keyword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indicat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a teacher who makes class fun and teaches study well, a good teacher who is kind and does not get angry, and a teacher who empathizes, listens, and understands their hearts and moods as a ‘good teacher’. Second, topic modeling showed that students perceived a teacher who has the following skills as a ‘good teacher’: lesson planning, promoting learning motivation, understanding students, learning guidance and facilitation skills, empathizing with students’ feelings, school life guidance skills, lesson implementation skills, and understanding and dealing with problem behavior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applied in school education to reflect students’ perceptions of good teachers, serve as a resource for student development and growth, and enabl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and experience the joy of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