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인드맵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및 작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

영문명
Effects of Mindmap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of Stroke Patients
발행기관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저자명
류성현 권기현 이수현 황도연
간행물 정보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제11권 제1호, 15~24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의약학 > 재활의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5.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마인드맵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인지기능 및 작업 참여의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뇌졸중 재활을 위한 중재 방안으로 마인드맵 프로그램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무작위 배정을 통해 두 집단으로 나눈 후 실험군은 마인드맵 프로그램을, 대조군은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총 12회기(1일 30분, 주 3회, 4주간) 동안 적용하였다. 인지기능은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MoCA-K)를, 작업 참여는 인간작업모델 선별 평가도구(MOHOS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중재 전 두 집단 간의 MoCA-K와 MOHOST 점수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두 집단의 각 중재 전과 후 MoCA-K 및 MOHOST 점수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p<.05). 중재 후 두 집단 간의 MoCA-K와 MOHOST 점수 변화량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p<.05), 실험군의 점수 변화량이 대조군보다 더 높았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마인드맵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작업 참여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균형 있는 삶을 위한 중재 방법으로 마인드맵 프로그램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the basis of the mindmap program as an intervention method for stroke rehabilitation by confirming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after applying the mindmap program to stroke patients. Methods : This study involved 20 stroke patients, and after dividing into two groups through randomization,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he mindmap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 applied the cognitive training program for a total of 12 sessions (30 minutes per day, 3 times a week, 4 weeks). Cognitive function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K),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was measured using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Screening Tool (MOHOST). Results : Before the intervention, the MoCA-K and MOHOST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5).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between the MoCA-K and MOHOST scores before and after each intervention in both groups (p<.05). After the intervention, the MoCA-K and MOHOST difference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and the differenc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mindmap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and occupational participation of stroke patients. It is expected that the mindmap program will be used as an intervention method for a balanced life of stroke pati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성현,권기현,이수현,황도연. (2024).마인드맵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및 작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11 (1), 15-24

MLA

류성현,권기현,이수현,황도연. "마인드맵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및 작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11.1(2024): 15-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