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체육심화 교육과정 현황 및 인식 연구
이용수 61
- 영문명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of Physical Education Intensive Curriculum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저자명
- 박재정 홍애령
- 간행물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제30권 제1호, 89~10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체육심화 교육과정 및 교과목의 개설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교육과정 개정 및 교과목 개설을 위해 참고할만한 재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12개 초등교원 양성대학(교육대학교, 제주대학교 초등교육과,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의 체육심화 교육과정 편람과 학사 공지를 통해 게시된 교육과정, 교과목 개설 현황을 수집하였고 학점 및 시수, 개설 시기, 교과목의 유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체육심화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은 K대학 체육심화 재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체육심화 교육과정에서 교과목의 학점 및 시수는 16~24학점 (20~25시수)의 분포를 나타냈다. 둘째, 개설 시기는 대체로 4학년 1학기(39개, 24.1%)에 집중되어 있었다. 셋째, 교과목의 비중은 체육실기 및 지도법, 실기, 이론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학생들은 대체로 수업 수강에 만족하고 있으나 시수와 학점의 균형, 저학년 시기 교과목 개설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초등 예비교사 양성을 위해 체육심화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반영과 현장성에 기반한 실기 및 지도법 교과목의 강화, 비공식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을 고려한 비교과활동 연계를 제안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physical education intensive curriculum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o collect opinions from students who can refer to the curriculum revision in the future. To this end, the curriculum posted through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academic announcements of 10 educational universities, Jeju National Universit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 total of 12 universit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proportion of credits, hours, semesters, and subjects. The percep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deepening curriculum of 24 students enrolled in K University's was identified through a surve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credits and hours of the intensiv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subjects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distribution of 16 to 24 credits (20 to 25 hours). Second, the opening semester was generally concentrated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fourth grade. Third, the proportion of subjects was in the order of individual physical education skills and teaching methods, practical skills, and theory. Fourth, enrolled student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aking classes, but they hope to open courses in the lower grades with lower grades compared to the number of hours. Research can suggest immediate reflection of the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reinforcement of practical and teaching courses based on field, and connection of comparative activities considering non-public curriculum and potential curriculum in order to foste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환학생의 포크댄스 강의 참여 사례 연구
- 부산형 0교시 체육활동 운영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초등학교 아침 체인지(體仁智)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초등교사와 문화예술강사의 표현활동 협력수업에 대한 고찰
- 가상·증강현실 스포츠 활용 초등체육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학교체육 학생소외 현상의 유형, 원인, 대처 방안 탐색 연구
-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체육심화 교육과정 현황 및 인식 연구
- 초등학교 종목별 학생선수와 일반학생의 다중지능 차이 연구
- 스포츠교육학 관련 1인칭 체험연구에서 보이는 메타인지적 차원
- 초등 예비교사의 대학생활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자퇴와 복학 경험을 중심으로
- 늘봄학교 저학년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 우리는 무슨 스포츠를 즐기며 살아갈까?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저학년 신체활동 강화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청소년의 신체활동 정도와 범불안장애와의 연관성
- Effects of Swimming Exercise and Protein Intake on Growth Factors and Stress Hormones in Mice
- Exploring Educational Effects of Classes Using GeoGebra for Crystal Structure Learni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