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기반 초등 음악 교과서 국악 영역의 편성 방향 탐색

이용수 18

영문명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based Elementary Music Textbook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저자명
조은숙
간행물 정보
『음악교육공학』제59호, 169~19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16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와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비교 검토하고,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반영한 3~6학년의 8종 초등 음악 교과서 국악 지도 내용을 분석하여,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초등 음악 교과서 국악 영역의 집필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는 표현, 감상, 생활화 3대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표현 영역은 가창·기악·창작 활동이 주를 이루었다. 초등 음악 교과서 국악 지도 내용 중 명시적이고 독립된 형태로 제시된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영역별 단원(제재 곡) 수, 활동 내용에 따른 하위 영역, 편성 면수, 편성 차시, 편성률 등의 요소로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8종 초등 음악 교과서 국악 지도 내용은 평균적으로 표현 영역 8~9개 단원(제재 곡)과 다양한 하위 영역의 활동 연계, 총 16~20면, 총 16~20차시, 25% 내외 편성; 감상 영역 2~3개 단원(제재 곡)과 다양한 하위 영역의 활동 연계, 총 5면, 총 5차시, 7% 내외 편성; 생활화 영역 1개 단원(제재 곡)과 몇 가지 하위 영역의 활동 연계, 총 1~2면, 총 1차시, 1~5% 미만의 편성을 보였다. 한편, 동일한 교과서 내에서 학년군별로 영역별 편성률이 다소 큰 편차를 보이는 것이 발견되었다. 둘째,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은 이전 교육과정과 달리 연주, 감상, 창작 3대 영역으로 설계되었다. 이에 따라 향후 개발할 초등 음악 교과서 국악 지도 내용의 편성 방향은 분화된 가창·기악 중심의 연주 활동 확충과 지속적인 감상 활동 제시, 분화·독립한 창작 활동의 강화 구현 등이 연계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2022 개정 초등 음악 교과서 국악 지도 내용은 명시적이고 독립된 형태의 단원을 기준으로 할 때, 전체 음악 교과서에서 최소 27차시 이상, 최소 편성률 40% 이상을 편성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연주(가창·기악) 영역 6~8개 단원(제재 곡), 총 15차시 이상, 편성률 22% 이상; 감상 영역 2~3개 단원, 총 6차시 이상, 편성률 9% 이상; 창작 영역 2~3개 단원, 총 6차시 이상, 편성률 9% 이상; 연주·감상·창작 3대 영역의 비율 3:1:1; 학년군별로 영역별 편성률의 편차가 너무 크지 않도록 균형 잡힌 안배로 편성할 것을 제안한다. 다만, 단원(제재 곡) 수는 출판사 집필진들의 자율성에 따라 가감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주된 영역별 활동과 더불어 신체 표현이나 놀이 등의 다양한 활동이 통합적으로 연계되도록 설계해야 하고, 총 편성률은 서양 음악이나 다문화 음악, 음악회, 단원 정리 등을 통해 국악 지도 내용이 통합되어 편성되므로 더욱 증대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analyze the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ction in eight elementary music textbooks in the 3rd and 6th grades reflecting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propose a direction for wri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system of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consisted of three areas: expression, appreciation, and daily life, and the expression area was mainly composed of singing, performing, and creative activities. Focusing on the explicit and independent for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ction in elementary music textbooks, it was classified and reviewed into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units(sanction songs) for each area, sub-areas according to the activity content, the number of programming pages, the time difference, and the organization rate. As a result, the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ction in 8 types of elementary music textbooks were, on average, linked to activities in 8 to 9 units(sanction songs) in the expression area and various sub-areas, a total of 16 to 20 pages, a total of 16 to 20 sessions, around 25%; linked activities in 2 to 3 units(sanction songs) in the appreciation area and various sub-areas, a total of 5 sessions, around 7%; linked activities in one unit(sanction songs) in the daily life area and several sub-areas, a total of 1 to 2 pages, a total of 1st sessions, less than 1 to 5%.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within the same textbook, the organization rate by area showed a rather large variation by grade group. Second,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was designed in three areas: performance, appreciation, and creation, unlike the previous curriculum. Accordingly, the direction of organiz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ction contents of elementary music textbook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should be linked to the expansion of performance activities centered on differentiated singing and instrumental music, the presentation of continuous appreciation activities, and the implementation of reinforcement of differentiated and independent creative activities. In addition, based on explicit and independent units, the 2022 revised elementary music textbook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ction content should be at least 27 sessions and at least 40% of the organization rate in all music textbooks. Specifically, six to eight units(sanctioned songs) in the performance(singular and instrumental music) area, a total of 15 sessions or more, 22% or more; two to three units in the appreciation area, a total of six sessions or more, 9% or more in the organization rate; two to three units in the creative area, a total of six sessions or more; a ratio of 3:1:1 in the three areas of performance, appreciation and cre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organization rate be arranged in a balanced manner so that the deviation of the organization rate by area is not too large by grade group.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umber of units(sanction songs) can be added or subtracted depending on the autonomy of the publisher's writers, and various activities such as body expression and play should be designed to be integrated with the main area's activities. The total organization rate increases further because the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integrated and organized through Western music, multicultural music, concerts, and unit arrangements.

목차

Ⅰ. 머리말
Ⅱ.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초등 음악 교과서 국악 영역 분석
Ⅲ.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초등 음악 교과서 국악 영역 편성 방향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은숙. (2024).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기반 초등 음악 교과서 국악 영역의 편성 방향 탐색. 음악교육공학, (), 169-198

MLA

조은숙.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기반 초등 음악 교과서 국악 영역의 편성 방향 탐색." 음악교육공학, (2024): 169-1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