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차원 분석모형을 활용한 디지털교과서 정책 분석

이용수 66

영문명
An Analysis of Digital Textbook Policy Using a Multi-dimensional Analytical Model
발행기관
한국교육정치학회
저자명
김유정 이정민 정제영
간행물 정보
『교육정치학연구』제31권 제1호, 27~5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5년 본격 도입 예정인 AI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적인 현장 안착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ooper, Fusarelli & Randall(2004)의 다차원 교육정책 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199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의 디지털교과서 정책 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규범적 차원에서 디지털교과서 정책은 큰 틀에서 미래 교육의 변혁을 위한 도구로 볼 수 있으며, 시대별로 세부 전략에는 차이가 있었다. 구조적 차원에서는 디지털교과서 관련 법령과 제도가 유연하게 개선되었다. 구성적 차원에서는 중앙정부 주도 하에 정책이 실행되고, 시・도교육청, 학교, 유관기관의 지원이 있었으며, 최근에는 민간기업의 참여가 증가했다. 기술적 차원에서는 정책 도입부터 교사 역량 강화가 강조되었고, 기술 사용에 초점을 맞추던 것에서 교육 혁신을 위한 하이터치-하이테크 역량으로 확장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네 가지 주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디지털교과서 정책의 가치와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이해관계자 간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둘째, 유연한 법과 제도의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디지털교과서의 현장 안착을 촉진해야 한다. 셋째, 중앙정부, 유관기관, 교육청, 학교, 민간기업 간 역할 분담과 협력을 위한 모니터링 체제 구축이 중요하다. 넷째, 하이터치-하이테크 교육 실현을 위해 교사의 역량 강화와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I digital textbooks, which are scheduled to be fully introduced in 2025. To this end, the digital textbook policy changes from the late 1990s to the present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using the multi-dimensional educational policy analysis framework by Cooper, Fusarelli & Randall (2004). The analysis revealed that, in the normative dimension, digital textbook policy can be seen as a tool for transforming future education, with varying detailed strategies over time. In the structural dimension, laws and systems related to digital textbooks have become more flexible and improved. In the constitutive dimension, the policy was implemented under the government, supported by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schools, and related institutions, with recent increases in private sector participation. In the technical dimension, the emphasis has been on enhancing teacher competencies from the inception of the policy, shifting from a focus on technology use to high-touch, high-tech capabilities for educational innovation. Based on the analysis, four main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it is essential to clearly set the values and goals of the digital textbook policy and form a consensus among stakeholders. Second,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flexible laws and systems is necessary to facilitate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textbooks. Third, establishing a monitoring system for role division and collaboration among the government, related institutions, educational offices, schools, and private companies is crucial. Fourth, enhancing teacher competencies and fostering students’ digital literacy are essential for realizing high-touch, high-tech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유정,이정민,정제영. (2024).다차원 분석모형을 활용한 디지털교과서 정책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31 (1), 27-53

MLA

김유정,이정민,정제영. "다차원 분석모형을 활용한 디지털교과서 정책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31.1(2024): 27-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