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들뢰즈의 존재론적 예술교육: IB PYP 예술과 교육과정에 대한 탐구

이용수 52

영문명
Deleuze's Ontological Arts Education: An Exploration of the IB PYP Arts and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조인성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76집, 155~18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9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술교육을 들뢰즈의 존재론적 관점을 통해 접근할 때에 그것이 지닌 잠재성과 혁신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예술교육을 들뢰즈의 존재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탐구해 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들뢰즈의 존재론적 관점에서의 예술교육이란 기호와의 조우 및 타자와의 연결 접속에 의한 상호작용을 부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연구자는 예술교육을 들뢰즈의 존재론을 기반으로 충실하게 잘 구현하고 반영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선정한 IB PYP 예술과 교육과정을 사례로 제시하였다. 나아가 미래 예술과 교육과정에 요구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IB PYP 예술과 교육과정은 초학문적 주제와 접근, 예술에서 탐구학습과 탐구하는 학습자,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예술적 경험과 기회, 그리고 자극에의 노출, 여러 가지 도구와 매체 및 기술의 활용 등을 강조하였다. 또한, 반응과 창작 과정에서 학습자의 작업과 어떤 예술작품과 그리고 한 예술가가 예술작품을 만드는 과정 및 작업에 반응하거나 또는 연결하면서 새로운 창조를 다양하게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이 간주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곳곳에 열린 질문 또는 상호작용의 형태가 나타났다. 이러한 점들에 비추어 봤을 때, IB PYP 예술과 교육과정은 결과적으로 들뢰즈의 존재론적 예술교육과 마주치고 공명하면서 같은 지향점을 추구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래 예술과 교육과정에 요구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폐쇄적이고 닫힌 수목형 교육과정에서 개방적이고 열린 리좀형 교육과정으로 탈바꿈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rts education through the lens of Deleuze’s ontological perspective, assuming that arts education can maximize its virtual and transformative potential when approached through Deleuze’s ontological lens. Deleuze’s ontological view of art education emphasizes interaction through encounters with signs and connections with the Oth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chose the IB PYP Arts curriculum as a case study because she believes that it can be faithfully implemented and reflected in arts education based on Deleuze’s ontology. Furthermore, it proposes a new paradigm for the future arts curriculum.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IB PYP arts curriculum emphasizes transdisciplinary themes and approaches, learners exploring and investigating in the arts, exposure to a range of artistic experiences, opportunities and stimuli, and the use of a variety of tools, media and technologies. It is also considered that the process of response and creation can lead to a variety of new creations as learners respond to, or make connections between, their own work and that of others and the process and work of an artist in creating a work of art. Finally, forms of open questioning or interaction were present throughout the curriculum. In light of these points, the IB PYP arts curriculum is, in fact, pursuing the same direction as Deleuze’s ontological arts education, encountering and resonating with i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new paradigm for future arts curricul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s the need to transform from a closed and closed arboreal curriculum to an open and open rhizome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들뢰즈의 존재론적 예술교육
Ⅲ. IB PYP 교육과정에서의 예술교육
Ⅳ. 미래 예술과 교육과정에 요구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제안: 수목형에서 리좀형 교육과정으로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인성. (2024).들뢰즈의 존재론적 예술교육: IB PYP 예술과 교육과정에 대한 탐구. 미술교육연구논총, (), 155-187

MLA

조인성. "들뢰즈의 존재론적 예술교육: IB PYP 예술과 교육과정에 대한 탐구." 미술교육연구논총, (2024): 155-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