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재활사의 회복탄력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18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silience of th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재임 박미혜
- 간행물 정보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제14권 제3호, 77~9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회복탄력성(resilience)이란 어려움을 이겨내고 심리적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되는 마음의 힘으로 직무스트레스 해결을 위한 심리적 기제의 하나로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왔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언어재활사의 회복탄력성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전국 단위의 현직 언어재활사 115명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검사를 실시하고, 개인 및 기관변인에 따른 회복탄력성 점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언어재활사의 평균 회복탄력성 점수는 25.04점으로 우리나라 일반 성인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연령, 자격급수 및 학력 등의 개인변인에 따른 회복탄력성 점수에는 차이가 나타났으나 결혼 여부나 경력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셋째, 근무 유형, 담당하는 대상의 수 등의 기관변인에 따른 차이는 있었으나 근무기관이나 직위 및 함께 근무하는 타 직종의 전문가 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영문 초록
Resilience is the strength of the mind that is the basis for overcoming hardships and difficulties and making a psychological leap. Resilience refers to psychological factors that help people overcome stress or obstacles and create opportunities for self-growth. Resilience has been continuously researched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can address job stres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resilience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ere examined in order to explain the job stres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he participants were the study were 115 speech-language pathologist sampled nationwide, and the RQT(Resilience Quotient Test)(Kwon Soo-Hyun, 2010) was filled out and distributed as an internet questionnaire, and th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to verify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and institute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the average score of resilience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 was the total score was 25.04 points, similar to the scores of general adults in our country. Second, among individual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resilience scores according th gender, age, level of qualification, and educational backgroun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marital status and career. Third, among the institute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ilience score of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and number of people in charge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orking periods, position, and number of other areas of expertise. In summary, the overall level of resilience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is similar to that of the general adult.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empathy was the highest, and emotional regulation and active challenge were relatively low.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ilience characteristic can be used to reduce the job stres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