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교육 참여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분석
이용수 243
- 영문명
- Analyzing parents' perceptions of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학부모학회
- 저자명
- 조영희 박정우
- 간행물 정보
- 『학부모연구』제11권 제1호, 107~12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부모의 학교 교육 참여가 최근 정책적으로 추진되고 학교 현장에서도 확산되었으며, 학부모회에 대한 관심도 주를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 학부모의 학교 교육 참여에 대한 높은 관심과 달리 학부모들이 학교에 원하는 바는 무엇이며, 학교 교육활동에 올바르게 참여하는 방안을 모색한 연구는 비교적 적었다. 이 연구에서는 학부모들이 인식하는 학교 교육 참여, 학부모회의 바람직한 역할은 무엇이며, 학부모들이 학교나 교육청에 바라는 요구사항 등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23년 6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A교육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학부모 모니터단 총 334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내용은 학부모 학교 교육 참여 전반, 학부모 학교 교육 참여의 주된 목적과 필요성, 학부모회의 바람직한 역할, 교육청에 바라는 지원이나 사업에 대한 인식 등
이다. 문항 분석은 학교급별로 차이검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가 학교교육의 주체라는 인식과 학부모 간 소통과 협업, 학부모의 학교 교육 참여의 충분성에 대한 동의도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 운영에
대한 의견 제시 및 협력, 학교교육 모니터링 등이 학교 교육 참여의 주된 목적과 필요성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학부모회의 바람직한 역할은 학부모의 요구조사 실시 및 참여와 다양한 학교 교육 참여 활동 조직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나 교육청에 바라는 지원이나 사업은 대체로 학부모 역량 강화(연수, 교육 등), 학부모 네트워크 확대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교급에 따른 학부모의 학교 교육 참여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학부모의 학교 교육 참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has recently been promoted in a policy and has spread in the school field, and interest in the parent association has also become the main focus. However, contrary to the high interest of parents in participating in school education, relatively few studies have sought what parents want in school and how to properly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activities.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in school education, the desirable role of the parent association, and the results that parents want from the school or office of educa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in June 2023, and the response data of a total of 334 parent monitor groups operat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A wer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survey include overall participation in parent school education, the main purpose and necessity of participation in parent school education, the desirable role of the parent association, and the perception of support or projects desir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For item analysis, difference verification and cross-analysis were conducted at the school level.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that parents are the subject of school education,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parents, and the degree of agreement on the sufficiency of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were relatively low. Second, presentation and cooperation on school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school education were derived as the main purpose and necessity of participating in school education. Third, the desirable role of the parent association was to conduct and participate in parent demand surveys and to organize various school education participation activities. Fourth, support or projects desired by schools or offices of education generally showed strengthening parent capabilities (training, education, etc.) and expanding parent networks.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s' perception of participation in school education by school level.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participation in parent education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