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독교인의 내적 종교성과 행복감 - 감사성향, 전념 및 종교적 안녕감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45
- 영문명
- Christians’ Intrinsic Religiosity and Happiness - A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Grateful Disposition, Commitment, and Religious Well-being -
- 발행기관
-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 저자명
- 서경현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학문(구 신학리뷰)』제25권 제3호, 145~16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독교인의 내적 종교성과 행복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그 관계를 감사성향, 전념 및 종교적 안녕감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참여자는 기독교인 312명(남:151명, 여:161명)이었으며, 그들의 연령은 20세에서 69세까지 분포되어 있었다. 다중매개모형은 PROCESS Macro 3.5 모델4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독교인의 내적 종교성, 감사성향, 전념, 종교적 안녕감 및 행복감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기독교인의 행복감을 예측하는 다중회귀모형에서는 내적 종교성, 감사성향, 전념 및 종교적 안녕감 모두 유의한 예언변인이었으며, 이 네 변인이 행복감을 56.3%나 설명하고 있었다. 단계적 회귀분석에서는 종교적 안녕감이 기독교인의 행복감에 대한 가장 결정적인 예측원이었다. 다중매개모형에서는 감사성향, 전념 및 종교적 안녕감을 거치는 간접경로 모두가 유의하였으며, 이 모형에서 내적 종교성에서 행복감으로 가는 직접 경로는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런 결과는 감사성향, 전념 및 종교적 안녕감을 통하지 않고는 행복감에 대한 기독교인의 내적 종교성의 영향력은 부정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s’ intrinsic religiosity and happiness and examin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grateful disposition, commitment, and religious wellbeing on this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were 312 Christian Koreans (151 men and 161 women) with ages ranging from 20 to 69 years. PROCESS Macro 3.5 Model 4 was used to analyze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intrinsic religiosity, grateful disposition, commitment, religious wellbeing, and happiness. In a multiple regression model for Christians’ happiness, intrinsic religiosity, grateful disposition, commitment, and religious wellbeing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nd these four variables accounted for 56.3% of variance in happiness. In the stepwise regression
model, religious wellbeing wa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Christians’ happiness. In the multiple mediating model, all indirect pathways through grateful disposition, commitment, and religious wellbeing were significant. In this model, the direct pathway from intrinsic religiosity to happiness was negativ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ristians' intrinsic religiosity negatively influences happiness, but not through these three variabl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권두언] 시대의 아픔을 돌아보다!
- 기독교인의 내적 종교성과 행복감 - 감사성향, 전념 및 종교적 안녕감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특별기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재림교회 공공성 조직의 불변성(不變性)과 가변성(可變性)
- 오규원 후기 시의 생태적 특성 연구 - 브뤼노 라투르의 이론을 바탕으로 -
- 로저 E. 올슨의 복음적 신인협력론 관점으로 본 재림교회 구원론 - 데스몬드 포드와 한스 K. 라론델 비교 연구 -
- 존재론적 비거니즘의 한계와 맥락적 비거니즘의 정치적 함의
- 19세기 미국 재림교회의 건강기별의 역사, 신학 그리고 채식주의에 관한 연구
- “늦은 비 성령”에 대한 역사신학적 이해
- 성경에 나오는 콩팥의 신학적 함의에 대한 고찰 - 화목제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종교교육학연구> 30년 연구 동향 분석
- 신약성경의 “이웃”(περίοικος, πλησίον, γείτων)의 용례와 생태학적 의미로 확장된 이웃사랑의 가르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