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세기 미국 재림교회의 건강기별의 역사, 신학 그리고 채식주의에 관한 연구
이용수 80
- 영문명
- A Study on the History, Theology, and Vegetarianism of the Health Message of Adventist Church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th Century
- 발행기관
-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 저자명
- 이훈재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학문(구 신학리뷰)』제25권 제3호, 38~70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19세기 미국 재림교회 건강기별의 역사, 신학 그리고 채식주의에 관한 연구이다. 19세기 미국 사회의 건강에 대한 인식과 이해와 함께 재림교회 건강기별의 역사는 시작되었다. 재림교회 건강기별은 신학적으로 신체적, 정신적, 영적, 사회적, 인도적 지원을 포함한 전인적인 회복을 추구하는 역동적인 기독교
신앙을 주장한다. 건강기별은 1863년 이후 재림교회 생활 표준 양식으로 정착했다. 특별히 채식주의는 재림교인들이 채택한 생활양식으로서 선호하고 권장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엘렌 G. 화잇의 건강에 관한 비전 중 채식주의 식단은 건강한 삶과 영적인 경험을 결합한 실천 과제였다. 재림교인들에게 채식주의를 포함한
건강기별은 현대적인 요구에 맞게 유용하게 발전시키고 적용되어야 한다. 이것이 이 시대에 재림교회가 선포할 세 천사의 기별의 중대한 한 부분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theology, and vegetarianism of the health message of the Adventist Church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th century. Along with the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health of American society, the history of the Adventist Church’s health period began in the 19th century. Theological, spiritual, social, and humanitarian support are the theological claims of the dynamic Christian faith that seeks holistic recovery. Since 1863, a health message had been established as the standard lifestyle for Adventist Church members. In particular, vegetarianism is an important concept preferred and recommended as a lifestyle adopted by Adventists. Among White’s visions of health, a vegetarian diet is a practice task that combines a healthy life and spiritual experience. For Adventists, health messages, including vegetarianism,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meet modern needs. This was a significant part of the three angel messages proclaimed by the Advent Church during this era.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초기 재림교회 건강기별의 역사
Ⅲ. 재림교회 건강기별의 신학적 이해
Ⅳ. 재림교회 건강기별의 채식주의
Ⅴ.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권두언] 시대의 아픔을 돌아보다!
- 기독교인의 내적 종교성과 행복감 - 감사성향, 전념 및 종교적 안녕감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특별기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재림교회 공공성 조직의 불변성(不變性)과 가변성(可變性)
- 오규원 후기 시의 생태적 특성 연구 - 브뤼노 라투르의 이론을 바탕으로 -
- 로저 E. 올슨의 복음적 신인협력론 관점으로 본 재림교회 구원론 - 데스몬드 포드와 한스 K. 라론델 비교 연구 -
- 존재론적 비거니즘의 한계와 맥락적 비거니즘의 정치적 함의
- 19세기 미국 재림교회의 건강기별의 역사, 신학 그리고 채식주의에 관한 연구
- “늦은 비 성령”에 대한 역사신학적 이해
- 성경에 나오는 콩팥의 신학적 함의에 대한 고찰 - 화목제를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 도입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 <종교교육학연구> 30년 연구 동향 분석
- 신약성경의 “이웃”(περίοικος, πλησίον, γείτων)의 용례와 생태학적 의미로 확장된 이웃사랑의 가르침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