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균 수면 시간과 건강관련 지표와의 관계
이용수 94
-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Average Sleep Time and Health Related Indicators
- 발행기관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 저자명
- 강은서 오지은 정수빈 박수희
- 간행물 정보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제15권 제2호, 139~14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수면과 건강 지표 간의 관계를 통해서 수면의 질을 개선하고 건강한 노후를 준비하기 위한 기초자료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22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t검정,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하루 평균 수면시간에 따른 고혈압, 당뇨병, 인지장애 진단 경험 여부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하루 평균 수면시간에 따른 EQ-5D 자기관리, EQ-5D 일상활동, 행복감지수, 주관적 스트레스 수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수면의 질을 개선하고 이를 토대로 건강한 노화를 준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sleep quality and preparing for healthy aging through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and health indicators. Methods : The analysis utilized data from the 2022 Community Health Survey.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2.0. Results :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experiences of hypertension, diabetes, and cognitive impairment diagnosis based on daily average sleep duration. Addition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daily average sleep duration and EQ-5D self-care, EQ-5D daily activities, happiness index, and subjective stress levels. Conclusion :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sleep quality and
preparing for healthy aging.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인의 사회참여 유형에 따른 우울과 인지기능의 차이
- 고령 운전자의 안전운전행동과 인지 능력 간의 상관 연구: 시공간적 작업기억 능력과 운동 제어 능력을 중심으로
- 노인들의 인지 증진 및 소근육 향상을 위한 보드도구 개발
- 복지용구 전시체험관 경험을 통한 인식 변화: A 전시체험관을 중심으로
- 노인 암 환자 가족간병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연령대별 복합요인과 신체활동량의 변화가 만성질환의 수준과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이동보조기기 수리서비스 플랫폼 구축에 관한 연구
- 보건계열 대학생의 학과 간 연계교육(IPE) 프로그램 적용 효과 연구
- 노인의 우울과 노인연령인식 간에 사회참여활동이 미치는 영향
- 코로나 팬데믹 이후 치매 노인환자 비공식 가족돌봄의 실태와 영향 요인
- 공적연금 수급과 자기효능감 및 삶의 만족도와의 상관관계 연구
- 국내 지역사회 실외용 통합놀이터 설치 사례분석 연구: 문헌 및 현장조사를 기반으로
- 국내 작업치료 전공 대학생의 학과만족도와 전공몰입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 평균 수면 시간과 건강관련 지표와의 관계
- 작업치료분야 인공지능 적용에 대한 체계적 고찰
- The Effect of the Memorial Writing Program for the Autobiographical Memory in Parkinson’s Disease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