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大埜 柳健休『東儒四書解集評』 「孟子」 <仁義禮智> 章 註釋의 특징 分析

이용수 6

영문명
Ryu Geon-Hyu 󰡔DongyuSaseohaeJippyeong(東儒四書解集評)󰡕 「Mencius」 Characteristic Analysis of Annotation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저자명
박연우
간행물 정보
『퇴계학논집』제33호, 41~7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大埜 柳健休(1768-1834)가 󰡔東儒四書解集評󰡕 「孟子」 중 <인의예지> 장에서 大山 李象靖(1711-1781)의 四端七情說을 위주로 주석한 것에 대한 특징을 밝히는 데 있다. 四端은 󰡔맹자󰡕 「공손추」장구 상 6장에 나오는 惻隱之心·羞惡之心·辭讓之心·是非之心을 말하고, 七情은 喜怒哀懼愛惡欲의 일곱 가지 감정을 말한다. 󰡔동유사서해집평󰡕 중 제6권이 「맹자」이다. 본고는 이후 󰡔동유맹자집평󰡕이라고 할 것이다. 󰡔동유사서해집평󰡕은 조선 유학사에서 최초로 東儒의 學說만으로 구성된 주석서이며, 󰡔동유맹자집평󰡕은 퇴계학파의 󰡔맹자󰡕에 대한 이해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될 가치가 있다. 류건휴는 󰡔동유맹자집평󰡕에서 󰡔맹자󰡕 260장 중 51장만을 선별하여 98개의 제목과 22개의 小제목을 두어, 조선의 유학자 37명의 학설 214건의 서간문에서 발췌하여 답변자 37명과 질문자 50인의 기록을 인용하여 주석하였다. <인의예지> 장은 ‘사단칠정’에 대한 주석으로 분량이 전체의 40%에 해당할 만큼 서책 구성에 있어 의도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류건휴는 이장에서 이상정의 학설을 위주로 선별하여 기록하고 있었다. 또한 구성 체제에서 사단칠정에 대한 쟁점을 제목으로 구성한 것과 서간문의 문답 형식을 통한 논제를 구성한 것과 한 주제에 여러 번 권점을 사용한 특이점이 있었다. 주석 내용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류건휴는 이상정의 사단칠정설을 맥락으로 삼아 주석했다. 둘째, 류건휴는 이상정의 설에 퇴계학파의 普說과 인식의 이완이 담겨있는 설을 선택했다. 보설은 이상정이 󰡔大山集󰡕 40권에서 한 말이다. 이상정은 율곡이 “사단은 리만 말한 것이고, 칠정은 리와 기를 합하여 말한 것이다. 두 가지 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한 말이 옳으며 퇴계도 이러한 뜻으로 한 말이 많다고 했다. 또한 ‘각기 주장하는 바가 있어 말이 다르기도 하다.’라고 하여 학파를 벗어나 보편적 설과 근본을 생각할 것을 주장했다. 셋째, 류건휴는 ‘혼윤’과 ‘분배’를 주석하면서 이상정의 사단칠정 독자설 중 ‘理主氣資說’은 주석에서 배제했다. 본고는 그 이유에 대해서 ‘리주기자설’이 율곡의 설과 같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류건휴가 <인의예지>장에서 이상정의 설을 맥락으로 삼아 주석한 것은 퇴계 학설을 정리하고 이상정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17세기의 이현일이 율곡학파를 강하게 비판했다면, 18세기의 이상정은 퇴율 학파 간 보편적 입장이었다. 조선 후기 퇴계학파인 류건휴는 이상정의 주석을 통해 학파 간 분쟁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퇴계 학설을 정리하여 퇴계학파와 이상정을 드러내려는 목적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조선 후기 퇴계학파의 맹자사상이 반영된 것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Lee Sang-jeong(大山 李象靖, 1711~1781)'s theory of the four-seven(四端七情) in the annotate on Ryu Geon-hyu(大埜 柳健休, 1768~1834)'s 「Mencius」 󰡔DongyuSaseohaejippyeong(東儒四書解集評)󰡕. 「Mencius」 is the sixth volume of 󰡔DongyuSaseohaejippyeong󰡕. 󰡔DongyuSaseohaejippyeong󰡕 is the first commentary in the history of Confucianism in Joseon consisting only of Dongyu's theories. In addition, the 󰡔Dongyu Mencius Jippyeong󰡕 shows the understanding of the Toegye School's Mencius. The annotations on ‘The Theory of the four-seven(四端七情)’ in 󰡔Dongyu Mencius Jippyeong󰡕 account for 40% of the total. There was a deliberate aspect in the composition of the book. Ryu Geon-hyu selected and annotated Lee Sang-jeong's theor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notation content are as follows: First, Ryu Geon-hyu used Lee Sang-jeong's ‘four-seven theory’ as his context. Second, Lee Sang-jeong's theory contains the relaxation of the Toegye school's universal theory and perception. The universal theory is what Lee Sang-jeong said in Volume 40 of the 󰡔大山集󰡕. Yulgok said, “The four(四端) spoke only of Li, and seven(七情) spoke together of Li(理) and Gi(氣). There are no two jeong(情)s.” Lee Sang-jeong said that Yulgok's words were correct. Toegye also said that there were many things that he said in this sense. He also said, “Each person has their own point of view, so their words are different.” He argued that we must look at universal theories and fundamentals that go beyond schools of thought. Third, Ryu Geon-hyu commented on ‘honyoon(渾淪)’ and ‘distribution(分配)’. Among Lee Sang-jeong’s four-seven division theories, the ‘理主氣資說 theory’ is famous. However, Ryu Geon-Hyu did not use it as an annotation. This paper considered that the reason for this was that the ‘理主氣資說theory’ was the same as Yulgok's theory. Ryu Geon-hyu's purpose was to organize Toegye's theories and reveal Lee Sang-jeong's scholarship. Lee Hyun-il in the 17th century strongly criticized the Yulgok school, while Lee Sang-jeong in the 18th century was a universal position between the Yulgok school and the Toegye school. It can be said that Ryu Geon-hyu's purpose was to organize the theories of the Toegye School through Lee Sang-jeong's commentary, rather than focusing on disputes between schools. This can be said to be a reflection of the Mencius ideology of the Toegye School in the late Joseon Dynasty.

목차

1. 서론
2. <인의예지> 장의 의도적 구성 체제
3. 사단칠정 주석의 특징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연우. (2023).大埜 柳健休『東儒四書解集評』 「孟子」 <仁義禮智> 章 註釋의 특징 分析. 퇴계학논집, (), 41-71

MLA

박연우. "大埜 柳健休『東儒四書解集評』 「孟子」 <仁義禮智> 章 註釋의 특징 分析." 퇴계학논집, (2023): 4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