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온라인 불교교육에 대한 학습자 요구도 분석: FGI를 중심으로

이용수 33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Needs of Learners on the Online Buddhist Education: Focusing on Focus Group Interview
발행기관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저자명
정지권
간행물 정보
『명상상담과 인문교육』제1권 제2호, 63~8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자의 온라인 불교교육 관련 요구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불교교육에 참여한 학습자 7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온라인 불교교육과 관련된 학습자의 요구는 ‘온라인 불교교육 이용 동기’, ‘온라인 불교교육 참여 경험’, ‘온라인 불교교육의 현장 활용가능성 증대를 위해 필요한 지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온라인 불교교육 이용 동기’에서 ‘불교공부에 대한 욕구’, ‘심리적 안정감 획득’, ‘도반들과의 소통’, ‘신행생활 욕구’, ‘비대면으로 인한 불교 콘텐츠 접근성 강화’가 도출되었다. ‘온라인 불교교육 참여 경험’에서 ‘온라인을 통한 다양한 수업방식’, ‘다양한 수업 콘텐츠 활용’, ‘진도위주의 수업’, ‘구체적인 수업’, ‘비대면 수업에서의 소통’이 도출되었다. ‘온라인 불교교육의 현장 활용가능성 증대를 위해 필요한 지원’에서 ‘비대면 수업을 위한 시스템 개선 필요’, ‘매력도가 높은 비대면 콘텐츠 개발’, ‘소통 가능한 소그룹 활동 수업 개발’, ‘교수자와 학습자 간 소통 강화’, ‘비대면 불교 교육과정 체계화 필요’, ‘온라인 수업 평가 필요’, ‘비대면 상담에 대한 고려 필요’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 대상 요구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온라인 불교교육의 구성, 내용 및 방법에 대한 방향성 도출 및 불교 관련 연구방법의 다양화에 기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earners’ needs related to online Buddhist education.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with seven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online Buddhist education. Learners’ needs related to online Buddhist education were centered around ‘motivation to use online Buddhist education,’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online Buddhist education,’ and ‘support needed to increase the field usability of online Buddhist education.’ From the ‘motivation for using online Buddhist education’, ‘desire to study Buddhism’, ‘acquiring psychological stability’, ‘communication with believers’, ‘desire to live a spiritual life’, and ‘strengthening accessibility to Buddhist content through non-face-to-face’ were derived. From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online Buddhist education’, ‘various teaching methods through online’, ‘use of various class contents’, ‘progress-oriented classes’, ‘specific classes’, and ‘communication in non-face-to-face classes’ were derived. From ‘Support needed to increase field usability of online Buddhist education’ to ‘Need to improve system for non-face-to-face classes’, ‘Development of highly attractive non-face-to-face content’,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small group activity classes’, ‘Instructors and learners’ ‘Strengthening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Need to systematize non-face-to-face Buddhist curriculum’, ‘Need to evaluate online classes’, and ‘Need to consider non-face-to-face counseling’ were identifi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tributed to deriving directions for the composition, content, and methods of online Buddhist education and diversifying Buddhism-related research methods by conducting a needs analysis of learn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지권. (2023).온라인 불교교육에 대한 학습자 요구도 분석: FGI를 중심으로.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1 (2), 63-82

MLA

정지권. "온라인 불교교육에 대한 학습자 요구도 분석: FGI를 중심으로."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1.2(2023): 63-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