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훈맹정음 전용약자 연구

이용수 6

영문명
A Study of Hoonmaengjeungeum Proprietary Abbreviations
발행기관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저자명
백남중
간행물 정보
『시각장애연구』제39권 제4호, 25~4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훈맹정음에 사용된 전용약자의 사용법을 고찰해봄으로써 한국 점자의 변천 과정을 이해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ㅏ 생략 이전에 제작된 점자도서 중에서 전용약자를 사용한 5종 7권의 도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박두성은 13개의 자음, 10개의 모음을 제자한 후, 가, 을, 와, 워, 의, 애, 에, 은, 예 외에도 소거듭, 대거듭, 재서표, 상동표와 같은 약자를 만들었다. 전용약자는 1928년부터 ㅏ 생략이 사용되기 시작한 1950년까지 5종 7권의 점자도서에 사용되었다. 5종 중 4종은 소설이었으며, 1종은 성경(마태복음)이었다. 전용약자를 사용하면 도서 첫 장에 전용약자 표를 위치하도록 하였다. 전용약자는 1-3-4-6을 기본 점형으로 하고, 그 앞이나 뒤에 점형을 추가하는 방식이다. 즉 1-3-4-6의 앞에 첫 글자의 초성을 전치하거나 두 번째 글자의 종성형을 1-3-4-6의 뒤에 표기하였다. 모음인 경우에는 해당 모음을 그대로 표기하였다. 전용약자는 기본적으로 1단어를 약자화하였으나 4단어까지 사용하기도 하였다. 결론: 전용약자는 현재 한국 점자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적당한 기본 점형을 정하고, 첫 글자의 초성이나 종성을 기본 점형 앞이나 뒤에 배치하여 사용하면 훨씬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volutionary process of Korean braille by examining the use of Proprietary abbreviations in Hoonmaengjeongeum. Method: A total of 7 books of 5 categories that used Proprietary abbreviations among the Braille books produced before the omission of the ah began were analyzed. Results: After creating 13 consonants and 10 vowels, Park Dooseong created abbreviations such as ga, eul, wah, weo, eui, ae, ee, eun, and ye as well as small chunk repetition, large chunk repetition, rewrite marks, and homologous marks. Proprietary abbreviations were used in seven braille books in five categories, beginning in 1928 and continuing until 1950, when the omission of the ah began. Four of the five were novels and one was the Bible (the Gospel of Matthew). When we use Proprietary abbreviations, we place a table of them in the first page of the book. The method of Proprietary abbreviation is to use 1-3-4-6 as the base dot and add a braille dot before or after it. In other words,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first syllable is written before 1-3-4-6 or the final consonant of the second syllable is written after 1-3-4-6. If the first letter of a word began with a vowel, the vowel was written as it is (e.g., Aegyeongyi is 1-2-3-5, 1-3-4-6). The Proprietary abbreviation usually abbreviated one word, but sometimes up to four words were used. Conclusion: Proprietary abbreviations are not currently used in Korean braille, but it is recommended that they can be used much more efficiently by choosing an appropriate base braille dot and placing the initial or final consonant of the first syllable before or after the base braille dot.

목차

I.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남중. (2023).훈맹정음 전용약자 연구. 시각장애연구, 39 (4), 25-41

MLA

백남중. "훈맹정음 전용약자 연구." 시각장애연구, 39.4(2023): 25-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