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생의 부모 지원 군집에 따른 학업성취도 및 진로성숙도의 차이: 자녀와 부모의 군집 비교

이용수 31

영문명
Parental Support Cluster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Maturity: Comparisons Between Children’s and Parents’ Clusters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김반디 신윤선 이유경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1권 제8호, 89~12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 자녀와 부모가 인식한 부모 지원양식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 도출된 유형에 따라 학업성취도 및 진로성숙도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urvey, KELS 2013)의 4차년도(2016년, 6,575명, 여자 50.7%)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녀가 인식한 부모 지원과 부모가 보고한 부모 지원에 대해 각각 군집을 도출하고, 군집 유형 간에 학업성취도 및 진로성숙도에 차이를 다변량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자녀군집은 ‘정서 중심 지원(33%)’, ‘낮은 정서 지원(22%)’, ‘전반적 낮은 지원(15%)’, ‘전반적 높은 지원(30%)’이라는 4개의 군집이 추출되었고, 부모군집도 ‘학업 및 정서 중심 지원(39%)’, ‘여가 중심 지원(19%)’, ‘전반적 낮은 지원(24%)’, ‘전반적 높은 지원(18%)’이라는 4개의 군집이 추출되었다. 자녀와 부모 군집이 서로 다른 유형과 수준으로 구성됨에 따라 부모 지원에 대한 자녀와 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변량분석 결과, 학업성취도는 자녀와 부모군집 모두 전반적 높은 지원형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녀군집에서는 낮은 정서 지원형의 학업성취도 수준이 가장 낮았고, 부모군집에서는 전반적 낮은 지원형의 학업성취도 수준이 가장 낮았다. 진로성숙도는 자녀군집, 부모군집 모두에서 전반적 높은 지원형이 가장 높은 수준을, 전반적 낮은 지원형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의 지원이 어떠한 형태로 자주 이루어지는지를 보여주는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였다. 특히 자녀 군집 중, 전반적 높은 지원 군집과 정서 중심 군집 간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점에서 부모가 주는 격려와 기대 등의 정서적 지지가 학업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부모의 지원은 어떤 형태로든(예: 여가활동) 지원을 하는 것이 낮은 수준의 지원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옴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lusters of parental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by their parents, an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maturity based on these clusters. Data from the 4th year (2016, N = 6,677, 50.7% female)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 (KELS 2013) was used to identify clusters and examine th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maturity among the clusters. Four clusters were identified from the student data: emotional-focused support (33%), low emotional support (22%), overall low support (30%), and overall high support (30%). For the parent data, four clusters were also identified: academic- and emotional-focused support (39%), leisure-focused support (19%), overall low support (24%), and overall high support (18%). These findings confirmed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parental support between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both the child and parent clusters, overall high support exhibited the highest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maturity. Notably, among the child clust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overall high support and emotional-focused support. This suggests that the emotional support provided by parents, such as encouragement and expectations, plays a positive role in academic achievement.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parental suppor tin any form (e.g., leisure activities) had a more positive effect than low levels of suppor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반디,신윤선,이유경. (2023).중학생의 부모 지원 군집에 따른 학업성취도 및 진로성숙도의 차이: 자녀와 부모의 군집 비교. 교육학연구, 61 (8), 89-120

MLA

김반디,신윤선,이유경. "중학생의 부모 지원 군집에 따른 학업성취도 및 진로성숙도의 차이: 자녀와 부모의 군집 비교." 교육학연구, 61.8(2023): 89-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