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임 교사의 교육과정 해석과 수업 계획: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일반화된 지식을 중심으로
이용수 43
- 영문명
- Beginning Teachers' Curriculum Interpretation and Lesson Planning: Focusing on the Generalized Knowledge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예림 최진영
- 간행물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제27권 제5호, 490~506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된 일반화된 지식을 초임 교사들이 어떻게 해석하고 수업을 계획하는지 탐구하여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을 지원하고 교육과정 문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세 명의 초임 교사들을 대상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일반화된 지식에 대한 교사들의 해석과 해석에 영향을 준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일반화된 지식을 활용하여 세 교사가 수업을 어떻게 계획하고 계획한수업 실행 후 교사의 해석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화된 지식에대해서 교사들은 서로 다른 해석을 했으며, 해석에 따라 수업 계획이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화된 지식에 대한 교사의해석에는 인지적 요인과 사회·문화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들은 일반화된 지식을 활용해 수업을 계획 및 실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으며, 일반화된 지식의 제시방식에 여러 문제점을 지적했다. 넷째, 연구 참여를 통해일반화된 지식을 활용해 본 후 일반화된 지식에 대한 교사들의 해석에 변화가 생겼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실행을 지원하고 교육과정 문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beginning teachers interpret the generalized knowledge newly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plan lessons around it. In so doing, it meant to find ways support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improve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To do so, we first exam-ined three beginning teachers' interpretations of the generalized knowledg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ontent framework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ir interpretations. Next, we analyzed how teachers used the generalized knowledge to plan their lessons and how their interpretations change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nned lesson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had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newly introduced generalized knowledge, and their lesson plans dif-fered according to their interpretations. Second, both cognitive and socio-cultural factors influenced teachers' interpretations of generalized knowledge. Third, teachers' use of generalized knowledge in lesso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was chal-lenged by the way in which the generalized knowledge is presented in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Fourth, teachers' inter-pretations of generalized knowledge chang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study and using generalized knowledge in their lesso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implications for improving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documentation to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목차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일반화된 지식에 대한 세 교사의 해석
IV. 일반화된 지식을 활용한 세 교사의
수업 계획과 실행 후 변화
V.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임 교사의 교육과정 해석과 수업 계획: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일반화된 지식을 중심으로
-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의 유아 동시 활동의 이해: 5세 솔솔반을 중심으로
- 사교육과 학습자 노력 변인이 고등학생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교무부장이 인식하는 업무 특성과 경험 탐색: 온라인 단체대화방 내용을 중심으로
- 메타버스 활용 교육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교육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 어린이집의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상호문화역량에 미치는 영향
- 교육실습 경험이 예비영어교사의 진로정체감, 진로준비행동, 진로탄력성,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국 학사 학위 취득 초임 유치원 교사의 교직 적응 경험
- 조기영어교육 연구동향 분석: 2000~2024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유치원 교사의 2세 영아 및 영아교육에 대한 인식과 유보 이음교육에 대한 요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