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반한 중국 고등학교 미술과 단원 개발
이용수 23
- 영문명
- Unit Development for Chinese High School Art based on Backward Design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과정개발원
- 저자명
- 조우밍위에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육과정개발연구』제2권 제1호, 73~114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7.31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5년부터 중국의 고등학교 미술 교육은 '핵심 소양'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교육에 변화를 가져왔다. 이 핵심 소양은 미술 교육의 이념과 실제 교육에 침투하여 중국 고등학교 미술 교육 개혁의 지도 방향이 되었다. 중등 미술 과목에 핵심 소양 가이드라인을 적용하는 것은 중국 교사들이 직면한 과제이며, 새로운 표준에 따라 교사들은 학생들의 이해와 활용 능력,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진정으로 이해했음을 증명하는 방법, 핵심 미술 소양을 기반으로 고등학교 미술 감상 교육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방법, 교육 효과를 달성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미국의 교육자들이 제안한 백워드 설계 모형은 미술 교육에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공하고 새로운 수업 방법을 제시한다. 이 모형은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학생들이 지식을 충분히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이러한 백워드 설계 이론을 고등학교 미술 교육에 적용하여 교수법의 다양성을 확대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Since 2015, high school art education in China has undergone a transforma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core skills.' These core skills have profoundly influenced the ideology and practice of art education, becoming the guiding force behind China's high school art education reform.
However, implementing the core knowledge guidelines into secondary art courses presents a challenge for Chinese teachers. The new standards demand that teachers contemplate students' comprehension and application of the learned material, find ways to assess genuine understanding, develop and execute high school art appreciation education based on core art knowledge, and ultimately achieve effective teaching outcomes.
In response to these challenges, educators in the United States have proposed the backward design model, offering a novel approach to art education and suggesting innovative teaching methods. This model empowers students to select th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to address problems and encourages them to thoroughly comprehend and apply what they learn. As a result, the researcher aims to apply the backward design theory to high school art education in China, thereby broadening the diversity of teaching methods available.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백워드 설계에 기반한 단원 개발 과정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