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역사회 거주 정신장애인 대상 가정환경개선 작업치료의 효과: 예비연구

이용수 2

영문명
Effectiveness of Home Modification Occupational Therapy for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With Mental Illness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주유미 이현숙 정은화 김지현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9권 제3호, 155~16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일상생활재활 모델에 기초하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에게 제공한 가정환경개 선 서비스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 예비연구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는 정신장애인 가족 단체를 통해 모집된 만성 정신장애인 6명이 참여하였다. 각 대상 자별로 기초사정, 가정환경개선 및 일상생활 중재, 후속조치의 내용으로 총 3회기의 중재를 적용하였으 며, 대면과 원격의 혼합 전달모형으로 제공되었다. 제공된 중재서비스의 임상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캐나다작업수행척도, 주거환경영향척도, 서비스 만족도 설문을 사용하였다. 중재 전후 참여자들의 작업수 행 관련 변화 및 주거환경 영향인자의 변화를 평균값 비교 및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중재서비스 이후 모든 참가자들의 COPM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특히 대상자 중 2명이 보인 향 상도는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수준이었다. 가정환경개선 중재 전후 주거환경 영향인자의 전체 점수 변화 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Z = -2.201, p = .028). 총 5가지 측면에 대해 10점 만점으 로 조사한 서비스 만족도에서 참가자들이 응답한 평균 점수는, 위험환경 개선이 6.5점, 무질서환경 개선 이 7.8점, 일상생활 수행 개선이 8.8점, 전반적 서비스 만족도가 9.1점, 서비스 지속 희망은 9.1점인 것 으로 나타났다. 결론 : 정신장애인 대상 가정환경개선 작업치료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의 주거환경 영향인자를 변화시키고 작업수행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preliminary evidence of an occupational therapy (OT) service involving home modification for community dwelling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Methods: Six participa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rough an organization of the parties concerned. The OT service provided to each participant consist of three sessions: a basic assessment, home modification and ADL intervention, and a follow-up.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in a mixed face-to-face and remote delivery model. COPM, Residential Environment Impact Scale (REIS), and a Service Satisfaction Questionnaire (SSQ) were used as pre- and post-measurement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effect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s: The COPM score for both th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were improved after the intervention for all participants. Changes in the total score of the REI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Z = -2.201, p = .028). The participants showed a medium-to-high satisfaction in general for the SSQ, which was scored out of 10 points for each area (elimination of risk factors, 6.5; satisfaction with clean up, 7.8; help in everyday life, 8.8; satisfaction with home modification service, 9.1; and hope of service continuation, 9.1, on average).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home modification OT has a positive effect for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ppendix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유미,이현숙,정은화,김지현. (2021).지역사회 거주 정신장애인 대상 가정환경개선 작업치료의 효과: 예비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9 (3), 155-168

MLA

주유미,이현숙,정은화,김지현. "지역사회 거주 정신장애인 대상 가정환경개선 작업치료의 효과: 예비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9.3(2021): 155-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